"감염병 관리 위해 IT·AI 활용한 간병·당직 시스템 선진화 필요"
"초고령사회 대비 위해 재활시스템 마련·사회 복귀 활성화 해야"
지난 3월 26일 대한요양병원협회 제10대 회장에 선출된 기평석 회장(경기도 부천시·가은병원장)이 취임 한 달여만인 27일 첫 기자간담회에서 "다가올 초고령사회에서 요양병원의 역할을 정립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기평석 회장은 "우리나라는 2026년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전체 인구의 20%를 차지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한다"면서 "이는 한 해 고령인구가 80만명 이상 증가하는 사회가 된다는 의미"라고 환기했다.
기 회장은 5년 후 초고령사회에서 요양병원이 어떤 역할을 하고, 어떻게 대비할 것인지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데 협회의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요양병원이 초고령사회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요양병원의 디지털화가 시급하다"고 밝힌 기 회장은 "특히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간병시스템의 선진화가 필수적이라는 사실을 절감했다"고 밝혔다.
기 회장은 "의사와 간호사는 환자와의 접촉 시간이 짧지만 요양병원 간병인은 환자들과 숙식을 같이해 감염을 확산시키는 주요인이라는 게 확인됐다. 간병인이 감염되면 최소 7∼8주의 공백이 발생한다"면서 "정보통신(IT)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간호간병통합서비스가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간병사가 병실에 상주해야 하는 현재의 시스템에서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AI를 활용한 요양병원 간호간병시스템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기 회장은 "5G 기반의 스마트 병실에서는 센서를 활용해 환자의 움직임, 활력징후, 복약, 음식 섭취 등을 모니터하는 방식으로 간병과 당직 제도 등을 개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초고령사회에서 요양병원이 해야 할 역할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초고령사회에서 요양병원을 무한정 늘리는 방식으로 환자들을 수용할 수 없는 만큼 사회 복귀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재활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힌 기 회장은 "앞으로는 입원환자들이 요양병원이나 요양원 등 시설이 아닌 자신이 살던 곳으로 다시 돌아갈 수 있도록 사회복귀를 위한 재활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면서 "치매 진행 속도를 늦추는 약이 있고, 지난해 미국에서 치매 치료제도 승인됐다. 치매 역시 사회복귀가 가능한 질환"이라고 밝혔다.
기 회장은 "코로나19 이후 의료환경의 변화와 초고령사회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연구와 시범사업을 통해 요양병원의 새로운 모델을 정립해야 한다"면서 "구체적인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정부와 협의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요양병원 인증평가에 대해서는 "인증은 피드백 시스템이다. 어떤 문제가 발생하면 문제를 해결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지를 봐야 한다"며 "시설에 대한 인증이 아니라 외국처럼 병원과 평가자가 어떻게 하면 더 좋은 시스템을 만들 것인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요양병원의 역할을 다시 정립해야 한다는 점도 짚었다.
기 회장은 "요양병원에서 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해도 감염병 환자를 진료하지 못하도록 규정한 의료법 때문에 다른 병원으로 이송해야 했다. 결국 요양병원계와 갈등을 겪은 후 코로나19 전담요양병원을 만들어 요양병원에서 코로나19 환자를 관리했다"며 "지금처럼 요양병원의 역할을 억제해서는 이런 문제들을 해결할 수 없다. 요양병원이 병원의 역할을 더 잘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만드는 게 사회적으로도 이익"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