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수술실 CCTV' 다르게 보기
[기자수첩] '수술실 CCTV' 다르게 보기
  • 이영재 기자 garden@kma.org
  • 승인 2021.06.09 06:00
  • 댓글 3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영재 의협신문 기자 ⓒ의협신문
이영재 의협신문 기자 ⓒ의협신문

해묵은 '수술실 CCTV 설치 의무화' 법안은 이번 국회에서도 여지없이 발의돼 6월 중 의안 심사를 앞두고 있다. 폐기와 발의를 10여년째 되풀이하고 있다. 

늘 환자의 알 권리를 살천스레 앞세운다. 법안 발의 목적이 포퓰리즘에 영합하는 게 아니라면 왜 한 번 쯤 고민하지 않을까. 

정보인권, 감시·통제, 프라이버시 등 더 세심하고 엄중하게 접근해야 할 가치가 있다는 것을…. 

정보인권에 대한 요구는 시민사회로부터 시작됐다. 정부 주도의 정보화 확산 과정에서 시민들의 의견이나 참여가 보장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지난 2013년 1월 발간한 <정보인권보고서>에서 개념을 정리했다.

"정보인권이란 정보통신 기술에 의해 디지털화된 정보가 수집·가공·유통·활용되는 과정과 그 결과로 얻어진 정보가치에 따라 인간의 존엄성이 훼손되지 않고 자유롭고 차별 없이 이용할 수 있는 기본적 권리다."

이 정의의 방점은 어디에 찍힐까. 국가 주도의 정보 독점을 막기 위한 '자유롭고 차별없이 이용할 수 있는'일까. 아니면 존재 그대로의 가치인 '인간의 존엄성이 훼손되지 않고'에 있을까.

정보인권의 중요성은 지난 2003년 교육행정정보시스템(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NEIS)을 통해서도 부각됐다. NEIS는 시·도교육청 및 교육인적자원부에 시스템을 구축하고 모든 교육행정기관 및 초·중등학교를 인터넷으로 연결해 교육행정 전반 업무를 연계처리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정보주체의 동의나 법적 근거 없이 정부가 전자 정보를 수집·처리하는 하는 정보인권 침해라는 지적이 비등했다.

다시 수술실로 시선을 옮겨 보자. 수술실에 CCTV를 설치하고 알권리를 위해 환자의 동의만으로 영상을 촬영한다면 정보의 또 다른 주체인 의사·간호사·의료기사 등의 정보인권은 어떻게 보호받아야 하나. 인권에 무겁고 가벼움이 있나.

법안 발의 때마다 등장하는 또 다른 '단골 이유'는 '의료사고 예방'이다. CCTV로 의료사고를 예방한다는 발상은 더 큰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미셀 푸코는 <감시와 처벌>(Discipline and Punish·1975)에서 현대의 컴퓨터 통신망과 데이터베이스가 마치 죄수들을 감시하는 '파놉티콘(Panopticon:원형감옥)' 처럼 개인을 감시하고 통제한다고 지적했다. 

파놉티콘은 영국의 공리주의 철학자 제러미 벤담이 제안한 교도소의 형태다. 교도소에서 중심에 위치한 감시자들은 외곽에 위치한 피감시자들을 감시할 수 있으나, 감시자들이 위치한 중심은 어둡게 돼 있어 피감시자들은 감시자들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죄수들은 자신들이 늘 감시받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되고, 결국 죄수들은 규율과 감시를 내면화해 스스로를 감시하게 된다.

다시 수술실이다. 의료진은 생명을 살리기 위해 촌각을 다투며 작은 빈틈도 허용치 않는 긴장속에서 환자와 마주한다. CCTV 앵글 속으로 일거수 일투족을 영상에 기록하는 상황이라면 그 긴장의 무게를 견딜 수 있을까. 

의료진에게 CCTV는 감시장치다.

CCTV가 의료사고를 예방하는 게 아니라 유발하게 된다면 누구에게 책임을 물을 것인가. 만약 당신이 수술을 받는다면 감시당하는 의사와 그렇지 않은 의사 중에 누구를 선택할 것인가.

어쩔수 없이 신체 노출을 해야 하는 수술실에서는 프라이버시 역시 절대적인 가치다.

그런데 모든 수술 상황이 영상에 담기다보면 환자 개인의 민감한 신체 부위 역시 노출될 수밖에 없다. 

CCTV가 설치되는 순간 모든 영상은 '자료'이고 '정보'다. 

아무리 정보 보안을 강화하고 법적 제재 수위를 높여도 악의적 의도를 지닌 사람과 기술을 막을 수 있을까. 현재의 디지털 수준은 그런 욕망을 얼마든지 메운다. 

아직도 수술실 CCTV 설치를 반대하는 게 의사들을 위해서라고 생각할까.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3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나체공개 2021-06-20 09:05:46
모든 수술 환자의 cctv녹화는 반대합니다
전신마취 수술 때 전신나체 동영상이 녹화된 자료는
언제나 밖으로(전세계적으로) 유출될 가능성이 늘 있습니다
병원 의무기록 유출과는 완전히 다른 사안입니다
cctv녹화여부는 현재처럼 그대로 병원 자율로 하되
환자가 반대하면 cctv녹화하지 않아야 합니다
환자가 cctv찍히는 게 중요한 병원 선택기준이면
cctv있는 병원을 선택하고
아니면 cctv녹화않는 병원을선택하면 됩니다
전세계에서 수술실내 cctv설치하는 나라가 없는 것은
cctv설치자체가 좋은 잇점보다 부작용이나 해악이 더 많기때문입니다 내가 수술받게되면 내 나체 동영상이 언젠가는 인터넷 공개될 헥킹가능성이 있다면 cctv법적 의무촬영은 반대합니다

국민 2021-06-09 10:55:47
그럼 어린이집 cctv 의무설치는 무언지 생각해 봐야 할것 입니다.
의사의 인권은 소중하고 어린이집 교사의 인권은 묵시 당해야 하나요?
법앞에서는 모든 국민이 평등해야지요.....
구더기 무서워서 장을 못 담글수 없지요. 동의하에 녹화는 적극적인 지지를 합니다.
생명을 다루는 현장에서 본인들이 떳떳 하다면, 마다할 이유가 없지 않은가?
환자가 수치심때문에 거부하면 거부했지, 의사가 먼저 걱정할 사유는 아닌듯 합니다.
이런 정책은 국민들의 참여 동의를 얻어 결정 하심도 좋을듯.....
정치적으로 통계자료만 뽑지말구 이런 여론 조사도 하는 통계청이 되기를 바랍니다.
국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사람은 과연 누군지......
남들앞에서 위축되는 의사는 자격미달일듯...

ㅋㅋㅋㅋ 2021-06-09 10:00:38
"의료진에게 CCTV는 감시장치다."
그럼 모든 차량에 달려있는 블랙박스도 감시장치냐?
어제 100분 토론 보니 "누군가 지켜보고 있다는 생각에 위축되 제실력을 발휘 못할것이다." 라는 말을 하던데 너무 얼탱이 없더라ㅋ
더이상 범죄를 저지르지 못하게 될것같고 걸릴것 같으니 위축되는거겠지.
니들 논리대로 누군가가 지켜보는게 위축되어서 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게된다라고 한다면
차량에 블랙박스 달아놓고 운전하는 사람들은 모두다 위축되어서 사고가 많이 나겠구나...?
그런데 실상은...? 오히려 반대지.
실력이 위축되는게 아니라 지킬건 지키려고 하니까 사고가 덜 나게 된다.
실력하고 아무 상관이 없다는거다.
또 다른예로 골목길 CCTV가 설치되어 있다고해서 길을 갈때 위축되나...?
ㅋㅋㅋㅋㅋㅋ 뭔 말같지도 않은;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