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27 13:15 (토)
고령사회 진입...노인의료 '컨트롤타워'가 없다

고령사회 진입...노인의료 '컨트롤타워'가 없다

  • 이정환 기자 leejh91@doctorsnews.co.kr
  • 승인 2017.05.13 05:59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새로운 영역에 전문가들 구심점 없이 혼란
적절 보상, 전문가 양성 정책 지원 필요

<예> 지역사회에서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골다공증 등의 만성 질환을 갖고 생활하던 80대 노인이 낙상으로 인해 골절을 당했다고 가정해보자.
이 환자의 수술 및 급성기 치료, 이후 발생한 섬망이나 거동 불가능상태, 영양 불균형, 근력 저하 등의 병발하는 문제를 적절히 해결하고, 적절한 재활 치료를 통해 다시 이전의 기능을 회복하고, 시설이 아닌 집으로 돌아가기까지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문제에, 개별 가족과 환자들은 대부분 적절한 조언과 도움을 받지 못하고 당황하고 우왕좌왕하고 여기저기 병원을 전전하고 불필요한 비용을 사용하게 되며 결국은 이전 기능을 회복하지 못하고 궁극적으로 사망률의 증가와 연결되는 경우가 흔하다.

이은주 교수
2017년 노인인구 700만 시대가 되면서 우리나라도 본격적으로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그러나 복잡 다양한 질환을 갖고 있는 노인환자를 돌볼 수 있는 컨트롤타워(지역노인의료센터)가 없어 하루 빨리 고령사회를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또 노인의료가 적절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노인의학에 대한 이해와 식견을 가진 전문가의 양성 및 이를 위한 정부의 전략적이고 지속적인 지원, 그리고 노인 평가 및 진료에 대한 적절한 보상도 필요한 실정이다.

이은주 울산의대 교수(서울아산병원 노년내과/대한노인병학회 기획이사)는 <의료정책포럼> 최신호 '고령사회를 대비하는 노인의료의 미래와 발전방향'이라는 글을 통해 정부가 보다 강력한 정책 드라이브를 걸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교수는 "노인 인구의 증가는 여러 사회적·경제적인 문제를 일으키는데 보건의료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거대한 의료비의 상승과 이로 인한 사회적 비용과 부담의 증가를 유발한다"고 밝혔다.

또 "노인들은 다양한 만성질환의 공존과 만성화 후유증으로 인한 질병다발성, 질병과 노화로 인한 신체기능저하와 이에 따른 일상생활기능의 상실, 그리고 만성화 및 지속적인 간병과 요양상태 등을 쉽게 떠올릴 수 있고, 이에 부가해 생애의 마지막 순간의 연명치료, 말기 치료 등의 복잡한 문제들이 있다"고 덧붙였다.

게다가 "기존 의료체계내의 진단·치료 뿐만아니라, 보다 광범위한 예방·진료·요양을 포함하며, 부양이나 가족관계, 사회적 지지, 경제적 측면 등 환자를 둘러싼 환경과 의료정책, 사회 여건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우리나라 노인은 OECD 국가 최저 수준의 경제 상태를 보이고 있으므로 증가되는 의료비를 개인이 감당하기 어렵고, 노인의 건강에 대한 국가의 책임이 매우 부족해 사회적 부담은 더욱 더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노인 진료를 좀 더 효율적이고 적절히 제공할 수 있는 노인의학 체계가 확립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 "노인의학에 대한 전문적인 수련을 받고, 실제 현장에서 활동할 수 있는 전문가가 중심이 되어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한다"며 "노인의학이라는 새로운 영역에 관련된 전문가들이 구심점 없이 혼동스러워하는 현상이 안타깝다"고 덧붙였다.

따라서 "복잡한 여러 전문과의 이해관계를 조정하고, 노인 의료가 정착되고 노인의학 전문가가 양성돼 활발히 활동을 하려면, 초기에는 적절한 보상과 함께 정부의 전문가 양성을 위한 강력한 정책적 지원을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교수는 "실제 임상에서 노인 한 명의 진료에 소요되는 시간은 젊은이의 3∼4배에 달하지만 별도의 노인진료 수가로 가산해 보상받는 내역이 전무하고,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드는 포괄적 노인평가를 시행하는데 대한 수가 산정이 없는 실정이어서 병원들이 더이상 적자를 감수할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고 밝혔다.

또 "일부 대학병원은 적자를 감수하고 노인 전문진료를 하고 있기는 하지만 앞으로 늘어나는 수요를 감안하면 노인평가와 진료에 대한 적절한 보상체계 수립은 필수적인 조건"이라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노인들은 다양한 질환을 갖고 있어 노인의학 전문가가 없을 경우 여러 병원을 돌아다니면서 중복검사·중복진료·중복처방 등으로 의료비 부담이 높은데, 처음부터 노인의학 전문의로부터 진료를 받으면 초기 비용이 조금 더 들어가더라도 장기적으로 치료의 효율성이 높아져 의료비도 절감될 것"으로 기대했다.

다양한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협력진료팀을 일선 병원에서 운영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가칭)지역노인의료센터 형태의 컨트롤타워의 필요성도 제기했다.

이 교수는 "컨트롤타워는 노인의 전반적 건강상태의 평가·유지·예방·급성기 질환 발생 시 급성기 치료, 그리고 이후 아급성-만성기 진료로의 전환, 장기 요양으로 연결되는 전체 진료의 흐름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조정해줄 수 있어야 한다"고 제시했다. 또 "이를 위해 의료계와 공무원 및 정부의 유기적이고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