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28 13:45 (일)
심장스텐트 시술후 '예후 예측' 새 표지자 나왔다

심장스텐트 시술후 '예후 예측' 새 표지자 나왔다

  • 조명덕 기자 mdcho@doctorsnews.co.kr
  • 승인 2013.01.09 11:35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효수 서울의대 교수팀, 관상동맥질환자 1636명 2년간 추적관찰

혈중 알카라인 포스파테이즈(Alkaline phosphatase, ALP) 수치가 스텐트 시술을 받은 관상동맥질환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새로운 지표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스텐트 시술 후 심혈관질환 재발을 예상하고 최적의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김효수 서울의대 교수
김효수 서울의대 교수팀(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박준빈 전임의)은 2003년 2월부터 2006년 6월까지 서울대병원에서 관상동맥 조영술과 스텐트 시술을 받은 환자 1636명을 2년 이상 추적 관찰한 결과 혈중 ALP 수치가 증가함에 따라 심혈관질환 재발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팀은 혈중 ALP 수치에 따라 환자들을 63 IU/L 이하(541명·낮은 군)와 63~78 IU/L(563명·중간 군) 및 78 IU/L 이상(532명·높은 군)으로 나누고 각 군당 총 사망율·심혈관계 사망율·심근경색증·스텐트 혈전증의 발생 위험율을 서로 비교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높은 군'은 '낮은 군'에 비해 총 사망율은 4.21배, 심혈관계 사망율은 3.92배, 심근경색 발생율은 1.98배, 스텐트 혈전증 발생율은 2.73배 높게 나타났다. ALP는 기존의 대표적인 관상동맥질환 예후 표지자인 C-반응 단백(C-reactive protein, CRP)의 수치와 관련 없이 독립적으로 심혈관질환 재발율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팀은 환자들을 혈중 ALP와 CRP 수치의 높고 낮음에 따라 4군으로 나눈 후 분석 한 결과, 혈중 ALP는 CRP의 높고 낮음과 상관없이 심혈관 질환을 예측했다. 특히 ALP와 CRP가 모두 상승한 군에서는 다른 3군에 비해 심혈관질환 재발율이 확연하게 증가했다.

또 김 교수팀은 연구팀은 혈중 ALP 수치가 관상동맥질환 재발율을 예측할 수 있는 이유도 설명했다. 유기 피로인산염(organic pyrophosphate)은 혈관 석회화를 억제하는 물질인데 ALP는 유기 피로인산염의 분해를 촉진시켜 혈관 석회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상동맥 조영술을 통해 ALP 수치가 높을수록 관상동맥의 석회화가 심한 것을 확인한 김 교수팀은 이에 근거해 ALP 수치가 높은 환자에서는 관상동맥 석회화의 발생율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관상동맥질환에 따른 부정적인 예후의 발생 위험도 증가한다는 가설이 힘을 얻게 됐다.

한편 최근 심혈관계 질환 분야에서는 조기 진단·위험도 층별화·치료반응 평가, 예후 예측을 위해 유용한 생물학적 표지자를 찾는 노력이 활발하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생물학적 표지자들은 유용성에 한계가 있다. 대표적인 표지자인 CRP도 심근경색증 환자의 41%에서는 예후를 예측하지 못한다는 결과가 보고돼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ALP가 관동맥질환자의 예후 예측에 추가 정보를 제공할 새로운 생물학적 표지자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다.

김 교수는 "관상동맥질환의 병태생리와 예후의 연관성을 증명한 이번 연구는 관상동맥 석회화가 환자의 예후에 심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최초로 증명했다는 독창성을 인정받았으며 칼슘대사와 동맥석회화와 심혈관계 예후 사이의 연결을 최초로 제시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보건복지부의 선도형세포치료연구사업단과 교육과학기술부의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완성된 이 연구는 심혈관계 3대 권위지인 <유럽심장저널(European Heart Journal)>(IF 10.48) 2012년 12월호에 게재됐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