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28 19:59 (일)
공보의 제대로 활용하자

공보의 제대로 활용하자

  • 김인혜 기자 kmatimes@kma.org
  • 승인 2002.01.17 00:00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한적 단순 진료업무에만 투입돼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공중보건의사를 활용, 정책으로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재용 박사(보건정책팀)의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의 3,300여명에 달하는 공중보건의사가 현재 제한적인 단순 진료업무에만 투입되고 있어 지역의 보건의료문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해 건강증진 사업의 효과를 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보건소나 보건지소를 이용하는 지역 주민의 이용률은 각각 1.3%와 4.3%를 차지, 의원 이용률 31.6%에 크게 밑도는 것으로 파악됐다. 때문에 만성질환 관리나 지역 민간의료계 및 대학과의 연계망을 이용, 지역 건강증진사업을 활성화 하려는 당초의 취지에는 크게 못 미치고 있는 형편이다.

연구자는 특히 절반이상의 보건지소의 연평균 일일 내원환자수가 20명 이하인 경우가 많으며, 민간의료기관이 지역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배치되고 있어 인구구조에 따른 공중보건의사의 배치 체계를 재고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실제 전국 98개 지역에서 공중보건의사가 배치된 곳 중 종합병원이 2개 이상인 지역이 21개이며 병원이 2개 이상인 경우도 61개 지역이어서 지리적 접근도나 지역내 보건의료자원 고려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공중보건의사를 지역 보건사업 전반에 투입, 건강증진사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공중보건의사 인력을 활용하기 위해 연구자는 공중보건의사의 기능을 보건사업전담과 전문과목진료, 일차진료 등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고 전제, 각 질환의 예방 및 조기발견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보건지소가 중점관리할 질환을 선정해 관리지침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특히 지역팀제 사업방식을 도입해 중점관리 질환을 중심으로 공중보건의사와 보건진료원의 역할을 구분, 유기적으로 팀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