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26 14:01 (금)
치매환자 지역사회 관리기간, 소득·거주지역 등에 따라 달라져 

치매환자 지역사회 관리기간, 소득·거주지역 등에 따라 달라져 

  • 고신정 기자 ksj8855@doctorsnews.co.kr
  • 승인 2022.02.07 12:03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득 적은 비수도권 거주·기저질환자 지역사회 관리기간 짧아"
대한치매학회, 건보공단 빅데이터 분석...치매 정책 방향성 제시

ⓒ의협신문

치매환자가 시설 입소 전 지역사회에서 관리받는 기간이 환자의 소득이나 거주지역, 기저질환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소득이 적고, 비수도권에 거주하며, 기저 질환이 많은 환자에서 지역사회에서 치매 관리를 받고 있는 비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한치매학회 빅데이터 연구팀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치매환자 5년 지역사회관리율: 치매정책 제안지표' 연구 결과를 내놨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인 '저널 오브 클리니컬 뉴롤로지'에 발표됐다.

이번 연구는 2002년∼2018년 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활용해 치매 진단 시점에서부터 지역사회에서 치매 관리를 받는 기간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분석 대상은 54만 9297명이었다.

연구결과 치매환자 지역사회 평균 관리기간은 5.98년으로 나타났는데, 소득과 거주지역·기저질환 여부 등에 따라 그 기간에 차이가 났다.

구체적으로는 ▲소득이 적은 경우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경우 ▲기저 질환이 많은 경우에 시설에 입소하지 않고 지역사회에서 치매 관리를 받고 있는 비율이 뚜렷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치매 환자는 통상 치매 진단을 받은 초기 개인·친인척·주간보호센터 등 지역사회에서 약물 치료와 인지중재치료 등의 관리를 받다가, 증상이 악화되거나 합병증이 생기면 요양병원이나 요양원에 입원 또는 입소하게 된다. 

환자가 요양시설에 입소할 경우 관리비용이 급속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 치매 환자들의 지역사회 거주 지원 방안 마련하는데 국가 정책의 방향성과 노력을 집중해야 한다는 요구가 크다. 

연구팀의 최호진 교수(한양대구리병원 신경과)는 "2008년 제1차 치매관리 종합계획이 발표된 이후 10년이상 치매 정책이 집행돼 왔지만 정책의 실질적 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지표는 부족한 상황이었다"며 "이번 연구는 공공 빅데이터 자료를 활용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책의 성과 분석과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권혁성 교수(한양대구리병원 신경과)는 "정책연구 관련 분야에서 공공 빅데이터 자료의 활용을 위해 치매학회의 전문가 그룹과 보건복지부, 중앙치매센터, 건강보험공단과 같은 공공 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의미 있는 연구 결과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향후 좋은 선례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며 "이러한 정책연구들이 앞으로 더욱 확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