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26 17:49 (금)
자궁경부암·전암으로 하루 10명 자궁 잃는다

자궁경부암·전암으로 하루 10명 자궁 잃는다

  • 송성철 기자 good@doctorsnews.co.kr
  • 승인 2015.05.20 13:57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기 예방 위해 9∼14세 여성, 자궁경부암 백신 2회 접종받아야
산부인과학회 "발암성 인유두종바이러스 16, 18형 100% 예방"

▲ 5년 간(2009~2013년) 자궁절제술 원인 중 자궁경부암 및 전암 단계 비율
자궁경부암과 자궁경부 전암성 병변으로 인해 하루 약 10명 가량의 여성이 자궁을 잃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한산부인과학회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집계한 2009∼2013년 주요 수술통계를 분석한 결과, 자궁경부암과 자궁경부 전암성 병변으로 자궁절제술을 받는 여성이 2009년 4387명, 2010년 4357명, 2011년 4192명, 2012년 4159명, 2013년 4216명 등 꾸준한 발생 빈도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에서 전체 자궁절제술 인원은 2009년 10만 4048명에서 2013년 4만 6725명으로 5년 새 절반 이하로 줄어든 데 반해, 전체 자궁절제술 원인 질환 중 자궁경부암 및 전암성 병변이 차지하는 비율은 같은 기간 4.2%에서 9%로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궁절제술은 제왕절개술 다음으로 가장 많이 시행하고 있는 수술로 자궁암 등 악성질환과 자궁근종을 비롯한 양성질환이 수술의 원인이다. 특히 자궁경부암은 자궁절제술의 원인이 되는 여성암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산부인과학회는 "최근 자궁경부암 및 전암 단계로 진료를 받는 30대 이하 젊은 여성이 늘고 있다"면서 "가임기의 젊은 여성이 자궁경부암 및 전암으로 수술하게 되면 임신을 할 때 초기 유산과 조산 위험이 정상 산모보다 증가한다"고 우려했다.

자궁경부암은 초기 자궁경부이형성증과 0기암이라 부리는 상피내암 과정을 거쳐 침윤성 암으로 진행된다. 전암 단계라 하더라도 자궁의 일부를 절제하거나 적출하는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있으며, 침윤성 암까지 진행된 자궁경부암의 경우, 초기(1∼2기초)에는 자궁·난소·골반 림프절 등까지 광범위하게 제거하는 절제수술을 받아야 한다. 진행성(2기말∼4기말)인 경우는 방사선치료와 항암제 투여도 병행하게 된다.

최근에는 수술법의 발달로 생존율이 높아졌다.

임신을 원하는 젊은 여성은 초기이면서 암 크기가 2cm 이하이면 자궁경부와 골반림프절 절제 수술로 자궁을 남겨 암 치료 후 임신을 시도하기도 한다.

하지만 수술 후 신체적 변화나 심리적 상실감을 감내해야 하며, 자궁경부무력증이 오거나 자궁경관의 길이가 짧아진 경우에는 임신초기 유산 및 조산의 위험이 정상 산모보다 높다.

▲ 자궁절제술 인원은 2009년 10만 4048명에서 2013년 4만 6725명으로 5년 새 절반 이하로 줄어든 데 반해, 전체 자궁절제술 원인 질환 중 자궁경부암 및 전암성 병변이 차지하는 비율은 같은 기간 4.2%에서 9%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정기검진을 통해 전암단계를 조기에 발견하면 자궁경부암까지 진행되는 것을 예방할 수는 있지만 전암성 병변인 상피내암이나 자궁경부 이형성증 발병 자체를 막을 수는 없다고 산부인과학회는 지적했다.

산부인과학회는 "자궁경부암은 수술 후 생존율은 약 80%로 높지만, 소중한 자궁을 잃지 않기 위해서는 조기 예방이 중요하다"면서 "자궁경부암 및 전암성 병변의 주요 원인인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할 수 있도록 백신 접종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재훈 연세의대 교수(강남세브란스병원 산부인과)는 "백신접종으로 자궁경부암 원인의 70%인 발암성 인유두종바이러스 16, 18형을 100% 가까이 예방할 수 있다"면서 "백신 종류마다 다르지만 HPV 유형에 관계없이 모든 자궁경부암 전암 단계에 대해 93.2%의 예방효과를 보이고, 출산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궁경부 절제술을 70% 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성경험 전 9∼14세 여아의 경우 2회 접종만으로 충분히 면역력 형성이 가능하므로 2회 접종 적기를 놓치지 않고 챙겨 조기 예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