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27 13:15 (토)
가습기 살균제 판매 중지 2년...환자 발생 '0'명

가습기 살균제 판매 중지 2년...환자 발생 '0'명

  • 이정환 기자 leejh91@doctorsnews.co.kr
  • 승인 2014.01.09 12:07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첫 소아피해환자 전체 138명 보고논문, 가습기 살균제 관련성 밝혀
서울아산병원 홍수종 교수팀, 세계적 호흡기분야 권위지 AJRCCM에 게재

   홍수종 교수
2011년 봄 전 국민을 공포에 떨게 했던 가습기살균제에 대해 정부가 판매 중지 조치를 내린 후, 지난 2년 동안 소아피해환자가 단 한 명도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병원 홍수종 교수팀은 2006~2011년까지 원인미상 폐질환으로 전국 각 병원에 입원한 소아·영유아환자 전체 138명에 대해 역학조사를 실시, 가습기살균제와 원인미상 간질성 폐질환의 관련성을 논문을 통해 밝혔다.

이번 역학조사는 소아환자 138명의 조직병리학·임상·방사선 특징 등을 분석하고, 동시에 정부의 가습기 살균제 판매중지 조치 이후 새로 발생하는 환자를 감시하는 시스템을 대한소아알레르기호흡기학회를 통해 구축했다.

후향적으로 가습기 살균제 관련 간질성 폐질환 소아환자는 2006년부터 2011년까지 138명으로 보고됐지만, 2011년 11월 판매가 중지된 후 전향적 조사에서는 '0'명이었다. 가습기 살균제를 사용하지 않자 환자가 발생하지 않은 것.

또 폐 조직검사에선 외부에서 흡입된 물질이 폐질환을 일으켰다는 단서를 확인했다. 전체 환자 중 조직검사를 받은 환자 60명에게서 공통적으로 괴사성 세기관지염 등 다양한 정도의 세기관지 손상을 동반한 폐 병변이 관찰된 것.

이는 가습기 물 분자에 달라붙은 미세한 입자 크기의 살균제 독성물질이 기도로 흡입돼 기관과 세기관지를 손상시키고 주변의 폐 조직에 염증을 유발했다는 근거가 된다.

이밖에 임상적으로 가습기 살균제 관련 피해환자의 증상은 전형적인 간질성 폐질환과 확연히 달랐다. 감기처럼 특이증상 없이 시작되지만, 시간이 지나면 폐가 딱딱하게 굳는 폐 섬유화가 급격히 진행돼 심한 호흡곤란을 일으켰다.

특히, 겨울철 후반기와 봄철에 환자가 몰렸다. 간질성 폐질환 소아환자 138명 가운데 99명(71.7%)이 3월(23명)·4월(42명)·5월(34명)에 집중돼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폐 손상은 방사선 검사에서도 확인됐다. 소아환자들의 초기 폐 방사선촬영 결과, 57.2%에서 간유리음영(ground glass opacity) 형태가 관찰됐다. 정상적인 폐는 방사선 촬영에서 검게 보이지만, 손상된 폐는 뿌연 유리처럼 얼비친다.

간질성 폐질환이 진행되면서 폐 조직 손상으로 섬유화가 동반돼 50% 이상 환자에게서 기흉도 나타났다. 기흉이 없는 환자들에 비해, 기흉이 있는 환자들은 예후도 나빴다. 집중적인 치료에도 상태가 나아지지 않았고, 결국 전체 소아환자 중 무려 60%에 달하는 80명이 숨졌다.

홍수종 서울아산병원 소아천식아토피센터장은 "중증폐질환이나 급성호흡부전증으로 제대로 숨을 못 쉬어 인공호흡기에 의지하는 환자의 사망률이 약 25%인 것을 감안하면, 가습기 살균제 관련 소아피해환자의 사망률은 매우 높은 수치"라고 말했다.

또 "사람에서 재현할 수 있는 질환이 아니기에, 장기추적조사에 의해 그 관련성을 밝혔다"며 "이런 질환에 대한 의사의 초기 관찰력과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의 해결하려는 의지가 문제 해결에 결정적으로 도움이 됐다"고 설명했다.

홍 센터장은 "당시 조사는 심한 환아 위주로 이뤄졌기 때문에 앞으로 경미한 환자들이나 노출군에 대한 조사와 유전적인 감수성 문제, 생존한 아이들에게서 장기적인 질환 발생 여부, 호흡기적인 합병증 유무나 폐 기능의 손상 여부 등 아직 조사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다"고 말했다.

또 "우리 주변에서 수백 수천의 화학물질이 적절한 통제 없이 사용되고 있고, 실제 다양한 방법으로 아이들에게 노출되고 있는데 향후 이들에 대한 인체 유해성 문제의 검증과 통제 방법, 규제 원칙 등 법과 제도적인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정부의 노력도 이뤄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편, 전국적인 관찰망을 통한 조사와 광범위한 환자 의료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된 이 논문은 앞으로 가습기살균제 등 독성물질로 인한 간질성 폐질환의 치료경과를 예측하고, 치료 방향을 설정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홍 센터장은 "외국에서는 과거에 이런 사례가 전혀 없었기 때문에 국제적인 호흡기 전문 의사들에게 이번 논문을 받아들여지기까지 설득하는데 매우 힘들었고, 2년 이상 시간이 걸려서야 국제 유명의학저널(AJRCCM)에서 받아들이게 됐다"고 말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