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27 13:15 (토)
청정지역 제주에서 새 유행성출혈열 바이러스 발견

청정지역 제주에서 새 유행성출혈열 바이러스 발견

  • 조명덕 기자 mdcho@doctorsnews.co.kr
  • 승인 2012.03.19 10:18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작은땃쥐로부터 신종 한타바이러스 발견...'제주바이러스' 명명
송진원 고려의대 교수..."국내 보건의료계 대응책 강구해야"

청정지역 제주도에서 새로운 한타바이러스가 발견됐다.

▲ 송진원 고려의대 교수
송진원 고려의대 교수(미생물학교실·고려대 식품생의학안전연구소장) 교수는 일본 국립감염병연구소와 공동연구를 통해, 제주도에서 채집된 식충목 동물인 작은땃쥐(Crocidura shantungensis)에서 새로운 한타바이러스를 발견, '제주바이러스(Jeju virus)'라 명명했다.

2006년 10월부터 2010년 9월까지 5년간 제주도 전역에서 채집된 작은땃쥐 조직으로부터 한타바이러스 속에 속하는 신종 바이러스를 중합효소 연쇄반응법(PCR)을 이용해 최초로 발견한 것이다.

작은땃쥐는 제주도를 포함한 한반도·몽골·극동 러시아 및 중국 북동부지역에 폭 넓게 서식하는 식충목 동물로, 제주바이러스의 전체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2009년 임진강 주변의 우수리땃쥐에서 발견된 임진바이러스와는 유전자 계통분류학 상 전혀 다른 신종 한타바이러스로 밝혀졌다.

땃쥐와 같은 식충목동물과 들쥐들은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켜 각종 질병을 발생시킨다는 데 있다. 유행성출혈열(신증후출혈열)은 10월말부터 12월초까지 집중 발병하며 쥐의 배설물에 포함된 바이러스가 호흡기를 통해 전파되는데, 갑작스럽게 열·두통·전신근육통 및 요통이 발생하며, 얼굴과 목의 발적과 인후점막의 출혈반이 특징이다.

송 교수는 "국내에서 해마다 500여명 정도 발병하는 유행성출혈열은 갑작스런 쇼크와 출혈 및 급성 신장 기능장애 등을 동반하고 평균 사망률이 약 5%에 달하는 3군 법정 전염병으로 이 바이러스가 우리나라 대표 청정지역인 제주도에서 발견됐다는 사실이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며 "당국을 포함한 보건의료 관계자 등은 이에 대한 관심을 갖고 대책을 강구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유행성출혈열 뿐만 아니라 추수 작업 때 발생할 수 있는 '랩토스피라증'의 경우에도, 들쥐의 배설물이 피부를 통해 감염되면 고열·두통을 동반하고 근육통·복통이 일어나며 출혈 등의 증상을 보이는데 치사율이 높아 농민들의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또 들쥐에 기생하는 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 '쯔쯔가무시' 병도 예방을 위해 쥐구멍이나 쥐 등의 통로 등지에 살충제 등을 집중 살포토록하는 등 식충목과 설치류에 의해 전파될 수 있는 감염병의 예방 방안이 제주도에서도 마련돼야 함이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증명됐다 고 볼 수 있다.

이번 연구결과는 바이러스학 분야의 3대 학술지 가운데 하나인 <바이러스학(Virology)> 2012년 3월호에 발표될 예정이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