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26 11:34 (금)
뇌졸중 치료 안전망 '구멍'...환자 3만 명 '사각지대'

뇌졸중 치료 안전망 '구멍'...환자 3만 명 '사각지대'

  • 송성철 기자 good@doctorsnews.co.kr
  • 승인 2017.11.14 17:14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골든타임 3시간 이내 병원 진료 30% 불과...뇌졸중센터·전문인력 부족
대한신경과학회 "지역 일차뇌졸중센터 100곳 확충·진료 인력 확충해야"

▲ 배희준 대한신경과학회 정책이사(분당서울대병원)가 뇌졸중 안전망 확보를 위해 전국적으로 일차뇌졸센터 100곳을 확보하고, 정부가 정책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뇌졸중'은 암을 제외한 단일 장기 질환으로 '심장병'과 함께 사망률 1, 2위를 다투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인구 고령화로 뇌졸중 환자의 수는 2004년 10만 명에서 2030년에는 35만 명이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과거에는 뇌졸중이 발병하면 사망하거나 평생 누워지내야 했지만 치료기술의 발달로 절반에 가까운 환자가 회복할 수 있는, 치료가능한 병이 됐습니다. 하지만 골든타임인 3시간 이내에 내원하는 환자는 30%에 불과합니다."
 
뇌졸중은 치료 가능한 병이 됐지만 너무 늦게 병원에 도착하거나, 골든타임 이내에 병원에 도착하더라도 뇌졸중을 치료할 수 있는 병원이 아니거나, 치료 가능한 병원이라도 준비를 제대로 하지 못한 이유로 뇌졸중 안전망에 구멍이 뚫리고 있다.
 
배희준 대한신경과학회 정책이사(분당서울대병원)는 "여전히 70%의 환자들이 골든타임 이후에 병원을 방문하고 있고, 뇌졸중 치료실적이 있는 201곳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는 1만 명에 불과한 실정"이라며 "나머지 3만 명은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2016년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정부가 심뇌혈관질환 종합계획을 준비하고 있지만 속도는 느리고, 움직임은 더디다.
 
대한신경과학회와 대한뇌졸중학회는 "전 국민이 지역·경제적 차별없이 적절한 뇌졸중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뇌졸중 안전망' 확립을 위해 전국에 뇌졸중전문치료 기능을 갖춘 일차뇌졸중센터 100곳을 확충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배 정책이사는 "지역의 역량 있는 병원이 참여해 촘촘한 네트워크 안전망을 구축하면 당장 뇌졸중 사각지대에 놓인 3만 명의 환자가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필수적으로 양질의 급성기 뇌졸중 전문인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지역병원의 경우 병원이나 정부의 지원을 받지 못한 채 1∼2명의 뇌졸중 전담의사가 365일 응급상황에 대비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잦은 당직'과 '인력 부족' 문제를 고스란히 짊어진 채 지쳐가고 있다. 2015년 신경과를 지원한 89명의 전공의 1년차 가운데 15%(13명)가 1년을 채우지 못한 채 뇌졸중 진료 현장을 떠났다.
 
배 정책이사는 "뇌졸중 안전망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뇌졸중 진료 가산과 정책적 지원을 통해 전문인력을 확보하고, 지역 일차뇌졸중센터를 확충해야 한다"면서 "신경계 응급진료체계가 붕괴하면 뇌졸중 치료의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