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27 13:15 (토)
"한의사 오진 뒷감당, 왜 의사가 하나?"

"한의사 오진 뒷감당, 왜 의사가 하나?"

  • 박소영 기자 syp8038@daum.net
  • 승인 2016.01.25 12:10
  • 댓글 13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재림 대공협회장 "한의협회장, 의대생만 못해"
한의사 오진 피해, 결국 의사가 고스란히 질 것

▲ 김재림 대공협회장 당선자.
"김필건 대한한의사협회장이 기자회견장에서 말한 골밀도 진단 내용은 의대생 보다도 못한 수준이었다."

제30대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장에 선출된 김재림 당선자는 한의사 현대의료기기 사용 요구에 대해 "한마디로 문제가 많다"고 잘라 말했다.

잘못된 진단으로 인해 환자가 피해를 보는 것은 물론 사회적 책임의 화살은 결국 의사에게로 향할 것이라는 것이란 우려도 드러냈다.

올 한해 공보의 대표로 의료계를 이끌어갈 김재림 당선자를 22일 본지가 만나 한의사 현대의료기기 허용 논란에 대한 생각을 물었다.

다음은 김재림 당선자와의 일문일답

김필건 한의협회장이 골밀도 측정기를 불법 시연했다. 심지어 자료 해석도 모두 틀렸는데 
한의사가 현대의료기기를 왜 사용하면 안 되는지 단적으로 보여준 사건이다. 의학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된 것이라 생각한다. 이를 허용하면 잘못된 정보로 환자들을 호도하는 것은 물론 오진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도 많이 초래할 것이다.

만일 한의사의 오진으로 치료시기를 놓쳐 병세가 악화된다면 그에 대한 비난이 의사에게 올 수 있다. 병원에서 환자가 사망하면 서운함은 결국 의사에게 향하지 않는가. 한의학 오진의 뒷감당을 의사가 하는 셈이다.

한의사 현대의료기기 사용으로 공보의들에게 갈 피해는 어떤 것인가?
공보의가 진료하는 환자 대다수가 시골 주민들이다. 이 분들은 의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도심에 거주하는 분들보다 부족하다. 예를 들어 서울에 거주하는 30대 여성이 한의원에서 다낭성 난소 증후군을 진단받았다고 가정해보자. 이 분은 다른 병원에서 당연히 재검진을 받을 것이다. 그러나 시골 주민들은 한의사의 말을 그대로 믿는 경우가 많다. 한의학도 현대의학만큼 검증된 체계적인 학문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시골 주민들은 한의사 오진의 피해를 가장 많이 입을 수 있는 분들이다. 실제로 오진으로 인해 치료가 악화되면 보건소로 가장 많이 찾아온다. 너무 늦게 온 분들은 치료하기 어려운 케이스도 있다.

대학병원 내과 전문의 선생님들이 이런 케이스를 가장 많이 접한다고 들었다. 침을 잘못 맞고 기흉이 생겼거나, 한약을 잘못 먹고 간 수치가 확 상승했다거나 하는 등이다. 일반약이 용량별로 효능이 확실하게 정해진 데 반해 한약은 정량화나 계량화가 안 되는 점도 피해를 크게 만든다.

지속적인 한의사들의 '떼 쓰기'가 초래할 결론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한의사라는 집단의 정체성을 흐릴 것으로 본다. 얼마 전 TV에서 어느 한의사가 펩티드 단백질에 대해 말하는 것을 봤다. 현대의학의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사고와 분절단위로 바라보는 시각을 한의학에서 차용해 설명하고 있었다. 한의학에는 그런 뿌리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의사들이 현대의학 원리를 기반으로 한 초음파나 엑스레이 장비를 쓰겠다고 한다면 종국에는 한의학이라는 정체성을 잃게 될 것이다. 하나의 학문으로 발전하는 게 아닌 가변적인 가설들만 계속 생기게 되는 것이다.

향후 정부나 여론에 공보의 대표로서 바라는 게 있다면?
이상하게도 한의사나 한의학에는 관대한 인식이 있다. 수술하다가 환자가 사망한 케이스와 침이나 한약을 잘못 사용해 사망한 케이스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정부나 여론에서는 의학에 의료사고나 과실, 소송이라는 말을 붙이며 딱딱한 잣대를 들이대는 반면, 한의학에는 조금 더 여지를 주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아마도 한의학은 과학이 아니라는 걸 알아서 어느 정도는 '그럴 수 있지'라고 넘어가는 듯 보인다. 그러나 한의사도 의료인이기 때문에 의료인 과실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 한의학에 대한 방임적인 시각이 아닌, 엄격하고 동등한 기준을 적용했으면 한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