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3-29 06:00 (금)
장기이식 임상진료지침 개발 연구 '스타트'
장기이식 임상진료지침 개발 연구 '스타트'
  • 이정환 기자 leejh91@doctorsnews.co.kr
  • 승인 2014.07.04 10:46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해부터 전향적 장기이식 코호트 연구 본격 시행…신장·간·심장 대상
책임연구자 안규리 교수, "데이터베이스 구축 통해 이식관련 정책 마련"

안규리 서울의대 교수가 KOTRY 사업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우리나라 장기이식 기증자와 수혜자의 현황을 조사해 앞으로 우리나라 장기이식 관련 데이터를 총괄적으로 관리, 분석해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실시된다.

이 연구가 시행되면, 앞으로 이식 후 장기 생존과 관련된 예후예측인자를 발굴해 생존율 향상을 위한 임상진료지침 개발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또 이식환자의 장기 생존 및 합병증 발생에 관여하는 생물학적 표지자(biomarker) 개발을 통해 향후 면역억제제 개발의 중요한 근거 자료로도 활용될 전망이다.

'전향적 장기이식 코호트 연구'(KOTRY)로 불리는 연구사업은 질병관리본부 산하 국립보건연구원이 주관하고 있으며, 대한이식학회(이사장 이석구)가 다기관 공동연구를 통해 2014년 4월부터 3년간 실시하게 된다.

안규리 서울의대 교수(서울대병원 신장내과)가 책임연구를 맡은 KOTRY 사업은 ▲장기이식 기술 현황 분석 ▲예후예측인자 발굴 ▲진단 바이오마커 발굴 ▲장기이식 분야 연구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안규리 교수는 "아시아에서 이식분야의 리더십을 확보하고 주도적으로 이식분야의 발전을 이끌어 나가기 위해서는 이식관련 데이터베이스의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해서만이 객관적인 의학적 근거로 이식관련 정책을 마련하고 원칙과 형평성에 어긋나지 않도록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특성에 맞는 치료 가이드라인을 확립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안 교수는 "또 외국 및 아시아지역과 데이터를 근거로 한 의학적 교류를 통해 이식분야 연구의 범위를 확대할 수 있으며, 이식분야의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미 미국·유럽·호주·중국 등은 국가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하고 이를 분석해 이식관련 제도와 정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국가 데이터를 활용해서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안 교수는 "우리나라도 최근 이를 확보하기 위한 여러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데이터의 수집과 분석에 있어서 전문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환자와 병원의 비밀보장 측면에서 운영의 독립성을 갖추지 못하는 등 여러 문제로 인해 광범위한 데이트베이스 구축에 한계를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따라서 "대한이식학회 차원에서 전국 신장이식 현황을 조사하는 '우리나라 신장이식 현화에 대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한 결과 성공적으로 마무리를 한 경험이 있다"며 "이를 계기로 2014년부터는 질병관리본부의 지원하에 '신장'·'간'·'심장'의 3개 장기로 대상을 확장해 전향적인 장기이식 코호트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

안 교수에 따르면 KOTRY는 장기이식 환자의 합병증과 생존율과 관련된 다양한 요인의 분석, 이식 관련 정책 수립의 기반이 되는 객관적인 자료 확보, 향후 우리나라 장기이식 관련 데이터의 총괄적 관리 및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 수립 등 다양한 역할이 기대되는 사업이다.

이번 KOTRY 사업에서 간 분야에 대해 연구를 수행하게 될 김명수 연세의대 교수(세브란스병원 이식외과)는 "다기관 연구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진행되는 사업은 신장 분야 29개 센터, 간 분야 13개 센터, 심장 분야 6개 센터가 공동으로 참여해 각 장기별로 참여 병원 중심의 연구협력 네트워크 를 통해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현재로서는 면역억제제 개발과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없는 상태지만 앞으로 면역억제제 개발의 중요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임상진료지침은 최소한 3~5년 정도의 자료가 축적돼야 만들어질 수 있다"며 "장기적인 연구인 만큼 시간을 두고 결과물을 기다려달라"고 말했다.

또 "장기이식 환자의 임상정보 및 생존율, 합병증 등의 자료를 체계적으로 관리해 입법 및 규정의 제정과 정책수립을 객관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기본 잘로 활용될 것"이라며 "연구사업은 3년 단위로 총 9년동안 진행돼야 구체적인 결과물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KOTRY를 통해 ▲장기 이 식 관련 입법과 관리, 정책 규정 수립의 기반이 되는 자료 제공 ▲장기이식 분야 의료의 투명성과 신뢰 확보 ▲뇌사 장기 및 장기 수급 현황에 관련된 정확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뇌사 장기이식 활성화 대책 지표를 수립 ▲장기기증 문화 확산에 필요한 정확한 정보와 현황을 제공함 ▲우리나라 장기이식 현황 홍보를 통한 국게적 의료 위상 제고 ▲장기이식 분야 의과학적 연구 발전에 기여 등이 기대된다.

한편, 이번 KOTRY 사업은 3년간 총 30억원의 정부 예산이 들어가며, 앞으로 9년간 진행될 경우 총 90억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