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25 14:25 (목)
극소저체중아 치료 전국 네트워크 구축 출범

극소저체중아 치료 전국 네트워크 구축 출범

  • 이정환 기자 leejh91@doctorsnews.co.kr
  • 승인 2013.04.15 18:02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향후 5년내 새로운 한국형 신생아 집중 표준치료법 개발 기대
국립보건연구원·대한신생아학회·삼성서울병원 주축으로 가동

극소저체중아 생존율을 세계적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민관 공동 프로젝트가 본격적으로 가동된다.

국립보건연구원(원장 조명찬)과 대한신생아학회(회장 배종우)는 삼성서울병원(병원장 송재훈)을 중심 연구기관으로 출생 체중 1500g 미만의 극소저체중아를 출생 즉후부터 생후 3년까지 추적 관리하는 전국 단위의 '한국신생아네트워크(Korean Neonata Network : KNN)'를 15일 공식 출범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총 5년간 추진 예정 사업으로 초기 3년간 9억 8000여만원을 들여 웹 기반 등록 시스템을 갖추고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앞으로 2년 간 새로운 한국형 신생아 집중 치료법을 개발해 극소저체중아의 생존율을 선진국 수준 이상으로 높이는 것이 최종 목표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1500g 미만의 극소저체중아는 1993년도 929명에서 2011년도 현재 2935명으로 300% 이상 급격히 증가해 이에 대한 국가적 대처가 시급한 상황이다.

지난 18년간 우리나라 연간 총 출생아수는 72만명에서 47만명으로 약 34% 감소했지만, 산모의 노령화와 불임의 증가 등으로 저체중 출생아들이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극소저체중 출생아의 경우 패혈증 등 여러 중증합병증을 동반해 신생아 사망률을 높일 뿐 아니라 성장발달장애 등 심각한 후유증을 남기기도 한다는 점이다.

국내에서는 선진국에 비해 다소 늦은 2000년대부터 신생아 집중치료를 본격적으로 시작해 일부 병원에서 극소저출생체중아의 생존율 83%, 초극소저출생체중아(1000g 미만)의 생존율 60%로 세계적 수준의 치료성적을 보고하고 있으나, 여전히 전국적 치료성적은 미국·일본 등의 선진국에 밑돌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번 프로젝트가 출범하게 된 것도 이 때문이다.

미국의 경우 극소저체중아를 위한 네트워크 구축사업을 지난 87년부터 시작해 이를 완성한 91년부터 극소저체중 출생아의 생존율을 매년 다기관 네트워크를 통해 발표하는데 10년간 생존율을 82%에서 85%로 끌어올린 바 있다. 일본 역시 97년부터 구축한 네트워크를 계기로 극소저체중 출생아의 생존율을 89%까지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네트워크 구축 연구책임자인 박원순 교수(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는 "국내 극소저체중아를 살리기 위한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을 위해서는 전국 단위 현황 파악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치료공조가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연구를 토대로 우리의 실정에 가장 적합한 새로운 한국형 신생아집중치료법을 개발할 계획이고, 결국 우리나라 신생아 치료율을 크게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국립보건연구원과 대한신생아학회는 이번 연구과제를 주도하는 삼성서울병원에서는 15일 오후 5시 삼성서울병원 암병원 세미나실에서 과제 발대식을 가졌다.

이 자리에는 송재훈 삼성서울병원장을 비롯해 조명찬 국립보건연구원장, 배종우 대한신생아학회장 등이 참석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