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 말라리아 방역 중단 후 국내 환자 급증"
"대북 말라리아 방역 중단 후 국내 환자 급증"
  • 이석영 기자 lsy@doctorsnews.co.kr
  • 승인 2010.10.08 11:59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야 의원 전염병 대북 지원에 '공감'

최근 경기 북부에서 말라리아 환자가 급증하고 있어 대북 방역 지원을 서둘러야 한다는 주장이 국회에서 제기됐다.

민주당 주승용 의원(국회 보건복지위)이 8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올 5~9월 서울과 인천·경기도·강원도 등 휴전선 접경지역에서 발생한 말라리아 환자수가 1259명으로 전년 같은 기간 대비 평균 40% 증가했다.

이처럼 휴전선 부근에서 말라리아 발병이 많은 이유는 말라리아의 매개체인 모기에 대한 방역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 남북이 각자 단독으로 방역을 실시할 경우 모기들이 휴전선을 사이를 오가며 방역을 회피하기 때문에 반드시 공동으로 실시해야만 효과가 있다. 그러나 지난 천안함사태 이후 내려진 5.24 조치로 대북 사업이 모두 중단되면서 남북 공동방역도 멈춰버린 것.

주 의원은 "휴전선 이남 지역에서 아무리 철저한 방역작업과 대비책을 마련한다고 하더라도 문제의 근본원인인 북한으로부터의 말라리아 유입을 막지 못한다면 환자 발생은 증가할 수밖에 없다"며 대북 말라리아 방역 지원을 재개할 것을 촉구했다.

한나라당 윤석용 의원 역시 "우리와 대륙으로 접경하고 있는 북한은 이웃국가인 중국, 일본과 달리 전염병예방에 대해서 만큼은 정치적 이해관계를 떠나 상호협력이 필요지만 중앙정부 차원에서 전염병 예방과 관련된 교류가 전무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윤 의원은 또 "현재 북한은 전염병의 진단·관리를 위한 인프라가 부족해 우리나라가 의약품을 지원해도 효과 검증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단순 의약품 지원에 그칠 것이 아니라 북한이 자국내 전염병 관리 시스템을 갖출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를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