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3-19 15:07 (화)
의사 독립운동가 156명 발굴
의사 독립운동가 156명 발굴
  • 조명덕 기자 mdcho@kma.org
  • 승인 2008.03.04 12:00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의협, 창립 100주년 맞아 역사적 발자취 조명
67명 독립유공자 포상...'노블리스 오블리제' 보여줘
▲ 몽골에 있는 이태준 공원. 2000년 공원 개원식에 세브란스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대한의사협회는 2일 "올해 창립 100주년을 맞아 의사출신 독립운동가 156명을 발굴, 그 업적을 재조명해보고 한국 독립운동사에서 차지하는 역사적 위상 정립은 물론 의사사회의 정체성 및 방향성을 재설정하기 위해 조사연구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의협은 독립운동에 참가한 의사와 의대생을 추적·정리하는 한편 의사들이 민족문제에 맞서기 시작한 1907년부터 해방을 맞은 1945년까지 국내는 물론 만주를 포함한 중국 및 블라디보스톡 등 러시아와 몽골·일본·미국 등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조사연구했다.

의협은 이번 조사연구에 따라 의사 독립운동가 156명을 발굴·정리했으며 이 가운데 67명은 정부로부터 독립유공자로 포상됐고, 89명은 아직 포상되지 않았다.

의사출신이거나 의학도가 참가한 독립운동에서는 무엇보다 1910년 국치 직후 시작된 독립군기지 건설 활동이 돋보이고 있는 가운데 만주 독립운동기지를 비롯 동부 몽골과 몽골, 러시아 연해주, 상해를 중심으로 삼은 중국 등에서 활동한 의사들의 행적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3.1운동에서는 경성의학전문학교·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학생의 활동이 두각을 나타냈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직후 상해로 망명해 활동한 인물이 속출했으며, 1920년대에는 국내 뿐만 아니라 중국의 상해·항주 지역 의학교를 졸업한 인물의 활약이 뛰어났다.

또 1920년대 만주지역에서 독립군 군의로 활동한 인물이 눈에 띄고, 1930년대~1940년대에 걸쳐 조선의용대·한국광복군의 군의로 활약한 인물도 여럿 있었다.

의사들이 펼친 독립운동은 실로 다양하고 포괄적이었다.

1907년 구국계몽운동 조직인 신민회 결성과 함께 김필순이 참가하면서 의학도들이 참가한 독립운동의 서장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다음으로 망국 전야에 이완용 처단을 시도한 명동성당 앞 '이재명의거'에 참가했던 오복원·김용문의 활동이 1909년 12월에 있었다. 이로 말미암아 오복원·김용문은 각각 10년형과 7년형을 언도받고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이후 독립군기지 건설·3.1운동 선두 지휘·3.1운동 이후 의열투쟁·경성의전 맹휴 투쟁·6.10만세운동 등 국내 항일투쟁, 대한민국 임시정부 활동, 독립군·광복군 군의로 활동, 해방 전야의 학생운동(광복 직전 학생비밀결사·흑백당·조선민족해방협동당 등)을 지속적으로 펼쳤다.

한편 의사 독립운동가 중 특기할 만한 인물로는 김필순·이태준·이자해를 들 수 있다.

김필순(1878~1919·제중원의학교 졸)은 만주와 내몽고 지역에서 독립운동 기지를 개척했고 대한제국 군대가 해산되면서 이에 항의하던 시가전 중 부상병을 치료하면서 민족문제에 적극 대응했고, 신민회에 가입하여 활동했다. 1911년 만주로 망명해 서간도·북경을 거쳐 몽골과 가까운 치치하얼에서 병원을 열어 독립운동 기지 및 연락거점으로 활용하는 등 독립운동을 했다.

이태준(1883~1920·세브란스의학교 졸)은 몽골지역 독립운동기지를 개척했고 신민회 자매단체인 청년학우회에 가입하면서 민족문제에 깊이 개입하며 독립운동을 시작했다. 남경지역으로 망명한 이후 몽골 울란바토르로 이동해 동의의원을 개원해 명성을 얻었고 몽골 왕궁을 출입하며 국왕의 어의가 되어 이상촌 건설이라는 교두보를 마련하기도 했다. 또 임시정부 지원을 위한 레닌자금 운송 책임자 역할을 했다. 이후 북경에서 의열단에 가입, 폭탄제조 전문가를 소개해 의열단의 투쟁을 본격화하는데 기여했다.

이자해(1893~1960)는 1919년 예배당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는 등 시위를 주도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소식을 접하고, 서간도지역으로 건너가 대한독립단에 가담했다. 이후 북경으로 건너가 중국군 제18기병연대 야전병원장을 맡으면서, 광복군의 교두보를 만들어 나갔다. 이는 중국 북부지역에서 한인 청년을 광복군으로 보내는 등 전방기지이면서 연락거점 역할을 했다.

이번 조사연구의 책임연구자인 김희곤 안동대 사학과 교수는 "의사출신 중 독립유공자 포상자는 67명으로 전체 포상자의 0.6%에 지나지 않지만 의사가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만분의 1도 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결코 적은 수치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특히 근대화 과정에서 새로운 지식인 그룹, 새로운 상층부를 형성하기 시작한 직업군 가운데 의사들의 참여도는 어느 직업군보다 앞서며 이는 새롭게 떠오른 '노블리스'가 자신에게 주어진 역사적 책무 즉 '오블리제'를 다하려 했던 모습을 의사출신 독립운동가의 자취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김주경 의협 대변인은 "이번 조사연구는 의협창립 100주년에 걸맞는 의미를 갖고 있으며, 의사 독립운동가의 역사적 위상을 엿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사들에게 방향성을 제시하고 의사의 사회적 책무를 다시 한 번 상기시키는 역사적 교훈을 남긴 것 같다"고 밝혔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