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3-29 21:36 (금)
"산에 오르면 하늘에 닿는 느낌입니다"
"산에 오르면 하늘에 닿는 느낌입니다"
  • 김혜은 기자 khe@kma.org
  • 승인 2005.07.27 17:05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K2봉 원정 및 스티패트롤 위원장 정덕환 교수

여기는 인도 카라코람산맥의 K2봉 해발 7800m 지점.억센 바람과 하얀 눈밭 속에 온 몸의 감각은 사라지고, 다만 대원들의 규칙적인 발소리와 숨소리를 감지하는 청각만이 살아있다. 하루 꼬박 2000m를 무리해서 오른 정덕환(경희의대 정형외과 교수) 대원의 걸음이 심상찮다. 흐느적거리며 제대로 걷지 못하는 정 교수를 다른 대원이 로프로 허리를 단단히 묶어 함께 걷기 시작했다.

별안간 정 교수의 몸이 붕 뜨는가 싶더니 그대로 아래로 굴러떨어졌다. 정 교수와 함께 허리를 묶은 대원이 필사적으로 선 자리에서 버텼다. 정 교수는 낭떠러지 아래 죽음을 향해 다가가다가 1m쯤 나온 바위에 걸려 구사일생으로 목숨을 건졌다.

근 20년이 지난 지금도 K2봉에서의 아찔한 기억을 떠올리면 '죽음을 부르는 산'이라는 K2의 무서운 기골이 눈 앞에 펼쳐지는 듯하다. 그러나 극한에 맞서 사투를 벌이다가도 "갔다 오면 다시 가고 싶은게 산"이라고 말하는 정 교수. 산은 정 교수에게 있어 또 하나의 삶의 터로 자리잡았다.

 

■ 산사람

▲ 산을 오르는 것은 조직력과 체력을 바탕으로 한 '산의 원정'이라는 작전을 완수한 것이라고 말하는 정덕환 교수(위).
정 교수가 맡은 임무는 동상치료 등이다. 의료도 산 사람 정 교수의 또 다른 '작전'이다.

그가 산을 즐겨 찾기 시작한 것은 1968년, 그러니까 까까머리 고등학생 시절 사진에 흠뻑 빠지면서부터. 들로 산으로 사진 찍으러 다니던 정 교수는 산의 매력에 조금씩 젖어드는 자신을 발견했다.

의대생 시절에는 산악부를 구성해 경희의대 산악부 창립멤버가 됐고, 도봉산·설악산·지리산 등 국내 산이라는 산은 모조리 훑고 다녔다. 그러다가 에베레스트를 만날 기회가 생겼다.

"본과 3, 4학년 때 에베레스트 훈련대에 참가해오던 중 대한산악연맹에서 선발하는 에베레스트 원정대원에 선발됐죠. 4년이나 준비했고 세계 최고봉(最高峰)을 원정한다는 생각에 꿈에 부풀었습니다. 그런데 짐까지 모두 보낸 마당에 갑자기 군의관 통지서가 날아왔습니다. 그래서 졸지에 원정대원에서 군의관 자격으로 바뀌어 현지 의료지원에 머물렀죠. 참 아쉬웠던 기억입니다."

그렇게 세계 최고의 산들과의 만남이 시작됐다. 몇 년 뒤 정 교수는 K2 원정대로 선발돼 100일간의 원정을 시작했다. 다른 나라 대원들이 하나 둘 죽어나가는 사투의 현장에서 정 교수는 위압적인 산의 매력을 몸으로 느끼며 점점 산사람이 돼 갔다.

워싱턴에 위치한 베이커산에 미국 의사 1명과 단 둘이 오르기도 했다. 비록 5일간이었지만 산 속에서 길 잃어 헤매던 기억은 50일간 다 말해도 모자랄 정도.

"산을 오르는 것은 하나의 작전을 수행하는 것과 같습니다. 대원들은 조직력과 체력을 바탕으로 '산의 원정'이라는 작전을 완수하는 것이죠. 대원들과 함께 '작전'을 짜고 다시 변경하는 과정에서 묘한 삶의 힘이 생깁니다. 산 꼭대기는 하난데 어떤 길로 가느냐, 그 접근 방식에 따라 정상을 향하는 길은 어렵기도 하고 쉽기도 하죠. 우리네 삶과 닮아있지 않습니까(웃음)."


■ 스키

정 교수는 스키 애호가이기도 하다. 현재 대한 스키패트롤 자격시험 전형위원이며 국제 스키패트롤 총회 조직위원회 부위원장이기도 한 그는 "산과 스키는 뗄 수 없는 관계"라고 말한다.

"70년대에는 주로 겨울산을 많이 올라갔죠. 눈을 타고 내려오면서 산을 즐기는 것은 그 자체로 스키라는 스포츠를 즐기는 것이었어요. 우리나라에 스키가 대중화되기 전에는 주로 산악인이 스키를 즐긴 것도 그런 이유에서죠. 용평 스키장이 생기기 전부터 눈산에서 스키를 몸에 익혔습니다."

일찍 시작됐던 스키에 대한 남다른 그의 애정은 스키에 관한 그의 전문성을 확보하는 계기가 됐다. 용평 스키장이 생기면서부터 의무실을 설치해 관리를 계속 해오면서 스키장 내 의료에 관한 입지를 다졌다. 베어스타운 의무실도 정 교수가 담당하는 경희의료원이 맡고 있다.

대한 스키협회 이사 및 스키패트롤 위원장직을 맡으면서 스키패트롤 양성과 교육에 힘 쓰는 것도 그의 전문 영역이다.

"산이 좋아 산에 갔다가 자연스럽게 스키를 익히다 보니 어느새 스키도 등산길의 중요한 벗이 됐어요. 요즘에도 국내에 있는 산을 갈 때는 스키등산을 많이 갑니다. 에베레스트나 알프스 등지에서 맛보았던 시원함을 느낄 수 있거든요."


■ 의사와 산

원정대원으로 참여할 때 정 교수가 맡은 임무는 단연 의료다. 동상에 걸려 까맣게 변한 대원들의 손가락 끝을 치료해주는 것은 산사람 정 교수의 또 다른 '작전'이다.

덕분에 우리나라의 산악인은 모두 정 교수의 손을 스쳐갔을 정도. 대한산악연맹 등산의학 위원회에 몸을 담고 있는 터라 엄홍길을 비롯한 무수한 산악인들이 정 교수에게 와 더러는 손가락을 자르기도 하고 더러는 손가락을 만들어가기도 한다.

"그들은 몸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도 발이 있는 한 산에 다시 갑니다. 아마 산사람이라면 누구나 그럴 겁니다."

산의 무엇이 그토록 이들을 불러낼까. 산사람 정 교수는 다음과 같은 말로 산의 매력을 전해줬다.

"산에 오르면 마치 하늘에 닿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두 발로 사방에 펼쳐진 세상을 볼 때의 성취감은 말로 표현할 수 없죠. 발끝부터 머리 끝까지 깨끗하게 정화되는 느낌이라고나 할까요. 사람들은 정상에 오른 사람만 기억하지만 우리 대원들은 누군가 정상에 닿도록 함께 노력하고 고생한 경험만으로도 행복합니다. 그 뿌듯함에 발길은 다시 산을 향합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