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3-29 20:40 (금)
제약연구소탐방7 LG생명과학연구원, LG의 자존심 '이땅은 너무 좁다'
제약연구소탐방7 LG생명과학연구원, LG의 자존심 '이땅은 너무 좁다'
  • Doctorsnews kmatimes@kma.org
  • 승인 2004.07.22 00:00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LG의 자존심 "이 땅은 너무 좁다"
제약사연구소를 찾아서7 LG생명과학연구원 우리나라 전통 정원을 보면 많은 요소들이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는 반면, 유독 연못만은 직선(사각형)으로 만들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음양사상이 조경문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중국이나 일본의 정원과 크게 다른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방형(方形)연못, 곧 방지(方池)라고 불리우는 이 연못의 형태를 음양설로 설명하면, 네모난 형태의 연못은 땅(陰)을 상징하고, 방지원도(方池圓島-연못안에 만든 둥근 섬)는 하늘, 양(陽)을 상징한다. 즉 우리 조상들은 연못을 만들며 천원지방(天圓地方-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이라는 우주관을 그 안에 숨겨 놓았던 것이다. LG생명과학 연구원에 '입장'하다 어릴적 머릿속에 그려보던 '부잣집, 재벌집'의 이미지는 어떤가? 3층 양옥에 잔디가 푸른 큰 정원, 그리고 물고기가 노는 연못, 아이들이 잔디위에서 뛰어놀고 노부부는 파라솔 아래 의자에서 와인을 마시며 흐뭇하게 자손들을 바라보는 모습. 뭐 이런 것 아니었던가?(이 모습은 실제 모 제약회사 80년대 광고의 한 장면이다) 연구소 탐방 취재를 위해 까다로운 신원확인(대학과 전공까지 확인-화학이나 약학전공이면 입장불가인가?)을 거쳐, LG생명과학 연구원 정문을 드디어(?) 통과했을 때, 기자는 어린시절 TV에서 본 그 광고의 한 장면이 떠올랐다. LG생명과학이 LG화학과 함께 사용하는 대덕 LG화학 연구원은 크기도 크기려니와, 초현대식 건물에 잘 다듬어진 잔디, 그리고 커다란 연못이 어우러진 '리조트형 콘도미니엄'을 연상케 했다. 대기업 LG의 제약산업 다루기 뻔하디 뻔한 국내 제약업계에서 LG와 CJ로 대표되는 두 대기업의 진출은 기대와 우려라는 두가지 반응을 가져왔다. 여기에 대해선 긴 설명이 필요없을 듯 하다. 우선 그 '우려'에 대해 LG생명과학 연구원 송지용 원장에게 물었다. "우리는 제네릭이 없다. 기존 제약 시장에서 서로 경쟁하는 체제라면 문제가 되지만, 우리는 개발 제품만 했다. '자니딥'은 좀 다르다. 경쟁하는 품목이라고 볼 수 없다. 노바스크 제네릭 경쟁에 뛰어드는 것, 그런 것이 흔히 우려하는 경쟁이다. 대기업이 그런거 한다면 존재가치가 없다." 질문의 내용을 좀더 본질적으로 하기 위해 '왜 대기업이어야 했는가?'를 물었다. "제약 산업은 중소기업 산업이 아니다. 예전엔 수입, 라이센싱 인으로 쉽게들 돈 벌었다. 이제는 아니다. 정상적인 제약 산업은 대기업으로도 부족하다. 물론 국내 기업들이 신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지만, 글쎄….물론 이것도 대기업이 신약개발의 촉진제가 됐기 때문이라고 본다. 신약개발, 본격적인 제약산업은 LG그룹이 다 뛰어들어도 부족하다." LG도 회사, 이윤은 뭘로 남기나? LG가 1년에 쏟아붇는 R&D 비용은 600억원이 넘는다. 매출의 30%이상이다. 손익 따져, 감당할 수 있는 만큼 하는 그런 수준이 아니다. 언제까지 이럴 수 있을까? 역시 송지용 원장 말. "LG전자의 연간 매출이 20조다. 화학만 9조다. 회장이 보면 의약품시장은 눈에도 안들어온다. 신약개발을 통해 1조 이상의 품목을 갖는 그런 것 아니면 의미가 없다. 그런 신약을 개발하기 전까지는 라이센싱 인과 팩티브의 해외 진출에 집중할 것이다. 1년반 정도면 유럽허가가 날 것으로 보인다. 그 외 B형간염 치료제, 서방형 인간 성장 호르몬 등이 상업화되면 이런 걱정은 상당부분 해결될 것으로 본다. 제약산업을 너무 경영마인드로만 보면 어려울 수도 있다. 하지만 견뎌야 한다. 이에 대한 LG의 긍정적인 조직문화와 건실한 지원이 있기에 아직은 견딜만 하다." LG, 어떤 제약회사가 되고 싶은가? 기자는 지난 연구소 탐방을 통해 모 연구소의 연구방향에 대해 의문점을 제기한 일이 있었다. '자사의 강점을 키워 한 분야의 1인자가 되는 것이 이 제품 저 질병에 문어발 연구를 하는 것 보다 낫지 않냐'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 송 원장은 다른 견해를 밝혔다. "LG가 한 우물만을 파지 않는다고 비판받기도 한다. 하나는 알고 둘은 모르는 말이다. 다국적제약사들도 모든 질환군을 커버한다. 컨설팅회사들도 길리아드(Gilead)는 항바이러스만 해야한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는 어패가 있는 것이다. 신약은 배팅이다. 안나오면 끝이다. 수백개 프로젝트에서 한두개 성공하는 확률게임이다. 시장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