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맥통증 치료 실전·정맥통증 논란을 논한다' 세션 눈길
대한정맥통증학회 제5차 추계학술대회가 10월 22일(일) 건국대학교병원 대강당에서 열린다.
정맥통증학회는 정맥부전을 개선해 말초순환 개선을 유도하고, 이를 통해 환자의 고통을 해소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특히 정맥통증학 이론을 정립하고, 치료 표준을 제시하는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학술대회에서는 '정맥통증의 논란을 논하다' 세션에서 팽동국 제주대 교수의 특강(정맥통증의 논란을 논하다-초음파 혈류 측정 원리와 불확실성)과 노환규 대학정맥통증학회장(하트웰의원)의 'Use of Thermography in Venous Insufficiency Treatment' 주제 강의를 통해 정맥통증을 둘러싼 쟁점에 관해 살펴보는 자리를 마련한다.
정맥통증학 입문자를 위한 △초심자를 위한 Pathophysiology of varicose vein(김진영 원장·서울선혈관통증클리닉) △Vascular access therapy for chronic musculoskeletal pain(이상환 H+양지병원 영상의학과) △정맥통증의 마지막 퍼즐(금재화·동신병원 외과) 등의 강의를 배정했다.
학술대회는 ▲이번엔 Spinal Phleboarthrosis ▲정맥통증 치료 후 환자 반응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 ▲정맥통증 치료의 실전 ▲정맥통증 치료 중 잘 낫지 않을 땐 등의 세션을 마련, 다양한 부위에서 발생하는 정맥부전과 정맥통증 치료법에 관한 정보를 공유한다.
송석원 이화의대 교수(이대부속서울병원·대동맥혈관병원장)의 '베나실 및 경화요법 후 발생 가능한 심부정맥혈전증(Deep Vein Thrombosis, DVT)', 박상준 청담튼튼병원 정맥혈관통증센터 원장의 '무릎 수술과 혈관치료의 만남', 박상준 새로운병원 정맥혈관 관절센터 원장의 '치료실패 또는 재발의 원인', 오지영 건국의대 교수(건국대병원 신경과)의 '생소한 진단, 어려운 치료-Small fiber neuropathy' 등의 강의도 눈길을 끈다.
노환규 대한정맥통증학회장은 "이번 학술대회는 좀 더 많은 분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 동시 진행 형식으로 준비했다"면서 "각 분야에서 정맥통증에 관한 연구와 임상을 하고 있는 연자들과 함께 지식을 나누고자 한다"고 초대 인사를 전했다.
사전등록은 10월 6일까지다. 참가 신청 및 문의(010-5777-0572, veinpain2020@gmail.com 대한정맥통증학회 운영사무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