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과 사태 "전문의 채용 가로막는 정부 정책 원인"
소아청소년과 사태 "전문의 채용 가로막는 정부 정책 원인"
  • 김미경 기자 95923kim@doctorsnews.co.kr
  • 승인 2022.12.15 12:57
  • 댓글 2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전협 "전공의 의존 벗어나야...수가 가산·국고 지원 필요"
아이 아플 때 치료받으려면 전문의 채용 기준 상급종병 평가 반영해야

의료계에서 꾸준히 나오던 소아청소년과의 몰락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가천대학교 길병원이 소아 입원진료를 잠정 중단한다는 소식에 정점을 찍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는 14일 소아청소년과 전공의 미달 사태에 관한 입장을 통해 "당연한 결과"라면서 "전공의가 없다고 진료를 못 하는 상황이 벌어진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지금까지 전문의가 아닌 전공의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상급종합병원의 기형적 구조 자체가 문제"라고 짚었다.

전공의는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의사면허를 취득한 뒤 수련 과정에 있는 의사다. 4~5년 동안 수련을 받고 시험에 합격해야 전문의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 

강민구 대한전공의협의회장은 "전공의 모집이 되지 않았다고 상급종합병원 진료가 마비된다는 것은 원론적으로 이치에 맞지 않는다. 중증질환을 최종 치료하는 것이 목적인 상급종합병원에서 진료는 기본적으로 전문의 중심으로 이뤄지는 것이 어느 나라든 당연한 상식"이라고 지적했다.

"소청과 전공의가 없다면 전문의를 충분히 채용해야 하지만, 종합병원 및 상급종합병원에서는 전문의를 고용하려 하지 않는다"고 밝힌 강 회장은 "병원은 이에 분명한 책임이 있다. 그러나 온전히 병원만의 책임이라 할 수도 없다"며 전문의 채용을 가로막는 국가 정책의 문제점을 손꼽았다.

강 회장은 "소아진료비는 오랜 시간 낮은 보험수가에 정체된 상태로 비급여 영역이 거의 없다. 병원 경영에 있어서는 소아진료를 유지했을 때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라며 "정책을 통해 병원에서 소청과 전문의를 충분히 채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 회장은 "전문의 채용을 위한 보험수가 가산과 획기적인 국고 지원이 필수다. 관련 수가를 대폭 인상해야 한다"며 "저출산 시대에 소아중환자실과 신생아중환자실이 국가 필수 영역이라면, 국고 예산 배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제대로 된 소아 진료를 위해 일정 병상 수마다 전문의 채용 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상급종합병원 평가 등에 반영할 것도 촉구했다.

전문의 부족으로 인해 전공의가 과중한 노동에 시달리고 있다는 점도 짚었다. 

"2019년 모 병원 소아청소년과 전공의는 주당 113시간을 일하다 과로사로 사망했다. 이제는 얼마 되지도 않는 수련생인 소청과 전공의가 36시간 연속근무를 해가며 남은 당직을 채우는 상황"이라고 밝힌 강 회장은 "전공의는 수련생이라는 명목하에 시장 가격의 절반도 되지 않는 최저임금 수준의 월급과 근로기준법을 넘어서는 주당 80시간, 주 2~3회 36시간 연속근무를 묵묵히 감내하고 있다"면서 "전공의를 비롯한 의료인 당직 연속근무를 24시간으로 제한하고, 초과 근무 시 추가 수당을 제대로 지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위험 부담과 감정노동 등 소청과 진료 시 겪는 어려움도 전했다.

강 회장은 "건강한 환아를 진료하는 데도 상당히 노동집약적인 요소와 부담이 있다. 상태가 급격히 악화될 가능성이 언제나 존재하는 영유아, 큰 수술이 필요하거나 심한 기저질환이 있는 환아의 진료는 더욱 어렵다"면서 "최선을 다했음에도 늘 소송과 법적 분쟁의 위험을 감내해야 한다"고 진료 현장의 실상을 전했다.

"저출산으로 인한 환아 수 감소로 일차의원이 폐업을 거듭하고 있다. 소청과 과목의 미래가 보이지 않는다"고 밝힌 강민구 회장은 "소청과 전문의가 되었을 때 미래가 보이지 않는 상황을 개선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저출산 시대에 아이 한 명 한 명을 잘 키워야 한다"는 이기일 보건복지부 차관의 발언을 소개한 강 회장은 "어린아이가 아플 때 제대로 치료받지 못하는 나라를 만들어서는 안 된다. 충분한 전문의 인력이 종합병원급에 있어야 아이가 아플 때 제 때 치료가 가능하다"고 재차 강조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또순이 2023-01-11 14:47:20
남아도는 그 많은 의사들이 소아과, 흉부외과, 산부인과 등을 기피하고 피부미용 등에 몰리는 것이 근본적인 문제죠. 잘못된 공산사회주의 시스템 때문에 몇몇 기피과목 의사가 부족한 것을 마치 전체 의사가 부족한 것으로 비틀어서 왜곡하니까 답이 안 나오고 사회적 갈등만 커지죠. 갈등이 커지면 아플 때 의사가 아닌 일반 국민만 손해입니다. 우선 환자 본인부담금을 OECD 평균은 아니더라도 최소한 중국이나 캅보디아 수준으로는 맞춰야 한다고 봅니다. 저출산 관련 예산의 일부도 이런 곳에 지원하여 의사들이 기피과에 지원하도록 유인해야 된다고 봅니다. 인구도 급감하므로 의사도 줄이고, 그 인력이 이공계로 더 가야죠.

허수아비 2022-12-15 13:10:46
돈도 못 버는데 병원에서 소아과 전문의를 왜 뽑아요? 전문의 채용을 하더라도 헐값에 하려고 하는데, 이는 하는 척 시늉만 하는 것과 같아요. 노예처럼 싼 값에 수련의인 전공의 부려 먹다가 전공의 부족하면 문 닫으면 되죠. 구지 전문의를 왜 채용해서 돈도 안되는 소아과를 유지해요? 병원 입장에서 소아과 말고 돈 되는 진료과에 집중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국민들도 소아 진료비 올리는 것을 피부미용비, 개 치료비 또는 커피값 보다 아까워 해요. 공무원들은 눈치만 보고 영혼이 없어요. 정치인들은 표 나오는 데에만 관심있어요. 그냥 붕괴되도록 냅둬요.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