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3-28 17:57 (목)
당뇨병 심각한 줄 알지만, 정작 '당화혈색소' 잘 몰라
당뇨병 심각한 줄 알지만, 정작 '당화혈색소' 잘 몰라
  • 이영재 기자 garden@kma.org
  • 승인 2022.11.16 09:55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당뇨병학회, '세계당뇨병의 날' 맞아 국민인식조사 결과
'당뇨병 심각한 질환' '86.7%'…'당화혈색소 모른다' '64.4%'
당뇨병 고위험군 포함 땐 1600만명…'정부 차원 대책' 필요 '57.3%'

우리나라 국민의 86.7%는 당뇨병을 '심각한 질환'이라고 생각하지만, 정작 당뇨병의 진단에 사용하는 '당화혈색소'에 대해서는 64.4%가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당뇨병학회가 '세계당뇨병의 날'(11월 14일)을 맞아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당뇨병 인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중 약 9명은 당뇨병을 심각한 질환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심각 53.5%·매우 심각 33.2%). 이런 경향성은 전 연령층에서 동일하게 나타났다. 

당뇨병의 심각성에 대한 인식과는 대조적으로 당화혈색소에 대한 인지도는 저조했다. 당뇨병을 심각한 질환이라고 생각하는 사람(86.7%) 10명 중 6명 이상은(64.4%) 당화혈색소를 '모른다'고 응답했다. 

당화혈색소는 지난 2∼3개월 간 평균적인 혈당 수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당화혈색소 수치가 6.5% 이상이면 당뇨병으로 진단한다. 당화혈색소는 당뇨병의 진단과 관리의 핵심 지표로, 공복혈당만을 당뇨병의 진단 기준으로 사용할 경우 숨어 있는 많은 환자를 놓칠 수 있다. 

최근 대한당뇨병학회에서 발표한 <당뇨병 팩트 시트 2022>에 따르면, 당뇨병의 진단 기준으로 공복혈당만 사용하는 경우 약 495만명(유병률 14.5%), 당화혈색소까지 포함하는 경우 570만명으로(유병률 16.7%) 집계됐다(2020년 기준, 30세 이상,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당화혈색소 기준으로 할 경우 약 75만명의 당뇨병 환자를 더 찾아내는 셈이다.

당뇨병 고위험군인 당뇨병전단계 인구를 선별하는 데도 당화혈색소는 중요하다. 

대한당뇨병학회의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우리나라의 당뇨병전단계 인구는 공복혈당만 이용하는 경우 965만명, 공복혈당과 당화혈색소를 모두 이용하는 경우 약 1583만명으로 추정돼 그 차이가 매우 컸다.

우리나라 국민의 86.7%는 당뇨병을 '심각한 질환'이라고 생각하지만, 정작 당뇨병의 진단에 사용하는 '당화혈색소'에 대해서는 64.4%가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월 14일 국회에서 열린 '당뇨병 2차 대란 위기관리를 위한 정책포럼'에서 공개됐다.
우리나라 국민의 86.7%는 당뇨병을 '심각한 질환'이라고 생각하지만, 정작 당뇨병의 진단에 사용하는 '당화혈색소'에 대해서는 64.4%가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월 14일 국회에서 열린 '당뇨병 2차 대란 위기관리를 위한 정책포럼'에서 공개됐다.

당뇨병은 지난 10년 간 우리나라 질병 부담 부동의 1위로,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과 같은 만성질환뿐만 아니라 심혈관질환, 신장질환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조기에 진단하고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이번 인식 조사에서 당뇨병 비진단자 2명 중 1명은(45.2%) 자신이 당뇨병에 걸릴 가능성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자신의 공복혈당 수치를 알고 있는 비율은 38.5%에 그쳐 잠재적인 당뇨병 환자를 찾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줬다. 당뇨병 비진단자가 자신의 공복혈당 수치를 알게 된 경로로는 '국가건강검진'(62.8%)이 '병원 검사'(29.1%), '혈당측정기로 스스로 측정'(21.2%) 등 다른 경로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원규장 대한당뇨병학회 이사장은 "이번 조사는 당뇨병 환자 600만명, 당뇨병 고위험군 1500만명인 시대를 맞아 우리나라 국민의 당뇨병 인식 실태를 점검하고자 기획됐다"라며 "조사 결과, 국민 90%가 당뇨병을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음에도 '당화혈색소'는 대부분 모르고 있고, 당뇨병 비진단자 역시 당뇨병을 걱정하고 있지만 본인의 혈당수치는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말했다.

이어 "효과적인 당뇨병 관리를 위해서는 '공복혈당'·'당화혈색소' 등에 대한 국민적 인식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대한당뇨병학회는 대국민 캠페인과 교육 활동을 더욱 활발히 전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원규장 이사장은 "숨어 있는 당뇨병 환자와 당뇨병 고위험군을 발견하는 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현재 공복혈당만 포함돼 있는 국가건강검진 항목에 당화혈색소를 추가하는 것"이라며 "비만·고혈압 등의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시범 사업을 진행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중요한 것은 당뇨병에 대한 국가 지원과 개입이 반드시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이번 당뇨병 인식 조사에서도 전체 응답자의 57.3%가 우리나라의 당뇨병 환자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어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당뇨병 인식 조사는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10월 12∼28일 온라인 조사로 ㈜마크로밀엠브레인을 통해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신뢰수준 95%에서 ±3.1%p다.

당뇨병 인식 조사 결과는 11월 14일 국회에서 열린 '당뇨병 2차 대란 위기관리를 위한 정책포럼'에서 공개됐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