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3-28 17:57 (목)
결핵 신규 환자 10년간 54% 감소했지만…OECD 국가 중 '최고'
결핵 신규 환자 10년간 54% 감소했지만…OECD 국가 중 '최고'
  • 홍완기 기자 wangi0602@doctorsnews.co.kr
  • 승인 2022.03.25 06:00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질병청, 제12회 결핵예방의 날 맞아 '2021년 결핵환자 신고현황' 발표
정은경 청장 "결핵 예방·관리 및 환자 맞춤형 치료 정책 강화하겠다"
연도별 결핵 환자 추이 [자료=질병관리청] ⓒ의협신문
연도별 결핵 환자 추이 [자료=질병관리청] ⓒ의협신문

국내 2021년도 신규 결핵환자가 전년 대비 8.0%가 감소한 1만 833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10년간 53.6%가 감소한 수치. 하지만 큰 폭 감소에도 불구, OECD 가입국 중 결핵 발생률은 여전히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은 3월 24일 제12회 결핵예방의날을 맞아 '2021년 결핵환자 신고현황'을 발표했다. 신규 결핵환자는 2011년 3만 9557명으로 정점을 기록한 이후 연평균 7.4%씩 감소해 왔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감소 성과가 나왔지만 우리나라는 OECD 가입국 중 결핵 발생률이 아직 가장 높다"며 "결핵은 코로나19와 더불어 최우선으로 대응하고 퇴치해야 하는 감염병이다. 국민이 결핵으로부터 안전하고, 결핵환자는 맞춤형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결핵 예방·관리 정책을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연령별로는 65세 이상이 51.3%를 차지하며 높은 비중을 보였다. 65세 이상 결핵 신환자 비율은 2017년 41.9%에서 2019년 47.1% 등을 기록해왔고, 이번 조사에는 절반 비율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 결핵 신환자율(2011/2021년) [자료=질병관리청] ⓒ의협신문
연령대별 결핵 신환자율(2011/2021년) [자료=질병관리청] ⓒ의협신문

결핵 유형별 분석 결과도 밝혔다. 전체 신규 결핵환자 1만 8335명 중 폐결핵이 1만 4100명(76.9%)으로 가장 많았으며, 폐 이외 장기에서 발생한 폐외결핵은 4235명(23.1%)이었다. 

도말양성 폐결핵 신규환자는 5170명으로 전년대비 3.9%(209명) 감소했다. 도말양성 폐결핵은 환자의 가래를 유리관에 얇게 펴 바르고, 염색해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결핵균이 확인된 경우다. 결핵균 수가 많고 전파력이 높은 특성이 있다.

결핵 치료의 가장 중요한 약제인 이소니아지드, 리팜피신에 내성이 있는 결핵균에 의해 발생한 결핵인 다제내성결핵의 경우 2021년 371명으로 전년 대비 7.0% 감소했다. 다제내성결핵은 결핵 치료가 어렵고, 환자 대부분이 복약 기간이 18개월 이상으로 긴 편이다.

인구 10만 명당 신규 결핵환자는 65세 이상(10만명당 109.7명)이 65세 미만(10만명당 20.9명)의 5.2배에 달한다. 또 65세 이상이 도말양성 폐결핵 환자의 58.2%를 차지했다.

우리나라는 2016년부터 결핵고위험국가 출신(결핵환자가 인구 10만 명당 50명 이상) 장기체류 대상자의 결핵검진 의무화를 추진해 왔다.

의무화 이후, 외국인 신규 결핵환자 수는 2016년 이후 지속해서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1년(1029명)은 전년 대비(1076명) 4.4%가 감소했고, 외국인 다제내성 결핵환자 수는 61명으로 전년(72명) 대비 11명(15.3%) 감소했다.

의료보장별로는 의료급여 수급자가 전체 신규 환자의 9.2%(1686명)였다. 신환자율(10만명당 110.5명에서는 건강보험 가입자(1만 6416명, 10만명 당 32.0명)보다 3.5배 높았다.

질병청은 "인구 고령화에 따라 65세 이상 결핵환자 비중이 높아지고 있어 보다 적극적인 결핵검진으로 조기 발견이 필요하다"며 고령층에 대한 정기 결핵 검진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사회경제적 취약계층에서의 결핵 신규 발생이 높다는 점을 들어 "결핵 퇴치를 위해 결핵 유형과 환자 특성을 고려한 섬세하고 철저한 치료 및 예방관리 정책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또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결핵 의사환자의 의료기관 방문 기피 및 진단 지연 등의 부정적 영향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 강화된 결핵 예방관리 정책의 지속 추진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세계보건기구(WHO) 역시 코로나19 유행으로 전 세계적으로 결핵 진단·치료에 대한 접근성이 저하됨에 따른 결핵 발생률 감소세 둔화 등의 부정적 영향이 2022년 더욱 악화될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정부는 2018년∼2022년도 제2기 결핵관리 종합계획 수립 이후, 2019년 5월 결핵예방관리대책을 발표했다. 2030년 결핵퇴치 단계 진입이 목표다.

종합대책은 취약계층 결핵검진을 통한 사각 영역 해소, 조기 발견과 치료를 위한 비용지원 및 관리체계 강화, 발병 가능성이 높은 접촉자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관리 등에 중점을 뒀다.

지난해에는 65세 이상 어르신 등 감염 취약대상 찾아가는 결핵검진을 통해 결핵환자 156명을 조기 발견하기도 했다. 결핵환자 조기 발견과 전파 방지, 결핵 발병 예방을 위한 가족 및 집단시설 내 역학조사도 집중 실시하고 있다.

특히 2021년에는 가족 내 접촉자 누락 방지를 위해 주민등록 정보와의 연계로 확인 절차를 강화해 가족 검진율을 높이고, 추가 결핵환자 158명을 조기에 발견하는 데에 기여했다. 

이 밖에 다제내성결핵의 치료 성공률 향상을 위한 전문의료기관 간 치료정보 공유와 환자관리 강화를 위한 협력체계를 구축 및 운영하고 있다.

정은경 질병청장은 "의료기관, 보건소 등 일선 현장에서 코로나19 대응으로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결핵 관리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준 덕분에 결핵환자 감소 성과를 이룰 수 있었다"며 "학교 결핵 관리(교육부), 사업장 결핵 관리(고용노동부), 외국인 결핵 관리(법무부), 병역판정검사 대상자 잠복결핵감염 관리(병무청) 등 관계부처 협력을 통해 결핵 퇴치를 위한 범정부 노력을 다하고 있다" 밝혔다.

아울러 "국민께서는 2주 이상 기침이 지속되면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검진을 받고, 특히 65세 이상 어르신은 매년 정기적으로 결핵검진을 받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