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실·분만·수술·투석실·응급실 제외' 등 구체적 계획 밝혀

최근 의대 정원 증원 및 공공의대 신설 등에 대한 강경 대응을 예고했던 전공의들이 결국 '파업' 카드를 꺼내 들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는 28일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보건복지부에 정책 요구안을 전달, 8월 첫 주까지 정책 수정 및 입장표명이 없을 시엔 파업에 돌입하겠다고 예고했다.
대전협은 '단체행동 안내문'을 게시하며 투쟁 로드맵을 함께 공유했다.
▲28일 대전협 요구안에 대한 병원협회 회장과 간담회를 시작으로 ▲29일 국회 간담회·청와대 관계자 간담회 ▲31일 보건복지부에 정책 요구안을 전달할 예정이다.
이후, 8월 1일 긴급 전공의대표자 회의가 예정돼 있다.
대전협은 "8월 첫 주까지 즉각적인 정책 수정 및 입장표명이 없을 시, 1차 단체 행동을 예고한다"며 "8월 7일 대한전공의협의회 1차 단체 행동 및 비상사태를 선언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때, 중환자실, 분만, 수술, 투석실, 응급실 등은 제외키로 한다는 등 다소 구체적인 계획도 함께 덧붙였다.

앞서 27일 대전협은 대회원 서신을 통해 의대 정원 확대 및 공공의대 설립에 찬성입장을 밝힌 대한병원협회에 대해 비판 목소리를 높이며 '단체행동'의 서막을 예고한 바 있다.
24일 전공의노조 임원 선출 및 노조 규약 개정안을 통과시키는 등 노조 체제의 집단행동 의지도 표명한 행보를 봤을 때, 투쟁 현실화 가능성이 클 것으로 보인다.
전공의들은 앞서 2014년 3월 10일 진행된 원격의료 등에 반발해 진행된 '전국의사총파업'에 동참, 의료계의 적극 참여에 큰 동력을 일으킨 바 있다.
이번 대한의사협회 투쟁 행보에 전공의 파업이 가세한다면, 다시 한번 의료계 반대 목소리에 큰 힘이 실릴 것으로 예상, 이목이 쏠리고 있다.
대전협은 대회원 서신에서 "1만 6천 전공의가 동참해, 젊은 의사의 목소리로 우리가 지금까지 어떤 희생으로 의료계를 지켜왔는지 보여줄 차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職能人이라 실정법상 파업은 불가하다
따라서, 醫師는 勞動者와 같이 '파업'이란 용어사용 및 행동을 할 수 없다
따라서, 集團 診療拒否 행위는 ' 위험 환자들을 볼모로한 배임, 협박, 강요, 살인미수에
해당되지 않나 온전히 思料(일본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