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의료행위 엄중 처벌·척결 위해 노력하겠다"

최근 대리수술 실태 보도로 인해 온 국민이 충격에 빠진 가운데 의료계 또한 참담한 심정을 표하며 자정을 위한 징계 권한 부여를 요구하고 나섰다.
6일 방송된 SBS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의료기기업체 영업사원 등의 무자격자 의료행위 실태를 다뤘다. 언론에 나온 의료기관은 무자격자를 수술에 참여시키거나 의사 대신 수술을 하도록 했다.
대한의사협회는 8일 성명서를 통해 심려를 끼친 점에 대한 사과와 함께 자정의 노력을 약속했다.
의협은 대리 수술 사태에 대해 "충격과 경악을 금치 못한다"며 "국민 여러분 앞에 참담한 심정으로 고개 숙여 깊은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고 입을 뗐다.
"의사가 아닌 사람의 의료행위는 환자에 치명적인 위해를 끼칠 수 있는 비윤리적인 행위다. 법적으로도 중대한 범죄에 해당한다"며 "의료현장에서 그 어떤 불가피한 상황이 있더라도 비의료인에게 의료행위를 맡기는 것은 용납할 수 없는 일"이라고 선언했다.
의협은 이번 사태가 일부 비윤리적인 의사와 의료기관의 불법적인 행위라며 선을 그었다.
"이번 일로 의료현장에서 환자를 위해 최선을 다해 진료하고 있는 대다수의 의료인이 크나큰 충격과 실망감을 넘어 분노하고 있다. 의료계 내부의 자정역량이 강화돼야 함을 절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속하고 엄정한 자체 진상조사를 통해 구체적인 경위를 파악할 것"이라며 "관련 회원을 엄중 징계함과 동시에 의료법 위반 사실에 대한 고발 조치를 통해 면허취소 등 협회가 시행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동원해 척결해 나가고자 한다"고 전했다.
정부에 대해선 자체적인 자정 활동을 위한 실질적 권한 부여를 요구했다.
의협은 "의료계가 엄격한 자정 활동을 통해 일부 의사들의 비윤리적 행위를 근절해 나갈 수 있도록 대한의사협회에 강력하고 실질적인 징계 권한을 부여하여 줄 것을 정부에 요청한다"고 촉구했다.
"환자의 건강과 안전을 책임져야 할 의사가 이러한 불법행위를 방조, 묵인하거나 심지어는 주도적으로 시행했다면 이는 의사로서의 본분을 망각한 것으로 법적으로 무겁게 처벌받아야 마땅하다"고 말했다.
의협은 "무면허 의료행위 근절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지금, 이 같은 일이 벌어진 데 대해 깊이 반성하며 다시 한번 이번 사태에 대하여 깊은 유감과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거듭 사과 입장을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