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비로봇 수술 관계없이 방광암 전 적출술 후 환자 통증 조절

오종진 서울의대 교수(분당서울대병원 비뇨의학과)팀이 마약성분이 없는 진통제만으로 방광 전 적출술(방광 내 종양을 제거하고자 골반, 복부의 임파선 및 방광 전체를 절제하는 수술) 후 환자의 통증을 조절하면서 장 기능 회복을 앞당길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지금까지 방광 전 적출술을 받은 환자의 경우 회복을 앞당기기 위해 변비나 구역질 등의 부작용을 감수하고 진통 완화 효과가 큰 마약성 진통제를 투여했다.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은 비마약성 진통제의 경우 환자의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는 사실이 입증되지 않아 마약성분이 든 진통제를 투여하고 있는 상황.
오종진 교수팀은 비마약성 진통제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최근 방광 전 적출술을 받은 40∼60대 환자 70명을 대상으로 절반(35명)에는 비마약성 진통제를, 나머지 절반(35명)에는 마약성 진통제를 투여한 후 각각의 회복 정도를 비교했다.
관찰 결과, 마약성 진통제를 투여 받은 환자군(42.9%)에 비해 비마약성 진통제를 투여 받은 환자군(8.6%)에서 수술 후 구토가 적었고, 처음 맑은 유동식을 섭취하기까지 걸리는 시간도 최대 2.5일을 앞당길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장폐색 등 소화기관에 발생하는 합병증도 적은 것으로 파악됐다.
비마약성 진통제를 투여한 환자의 경우 통증 정도가 시간이 지날수록 마약성 진통제 투여군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종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비마약성 진통제 사용만으로도 환자의 장 기능을 조기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면서 "특히 구토 증세를 줄이고, 장내 가스 배출과 배변을 원활히 돕는다면, 총 입원 기간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Scientific Reports> 최근에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