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26 06:00 (금)
정부, 감염병 R&D-국가방역체계 연계 강화

정부, 감염병 R&D-국가방역체계 연계 강화

  • 이승우 기자 potato73@doctorsnews.co.kr
  • 승인 2016.04.11 15:30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차 국가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 발표
방역현장 연계 R&D 추진, 상시 모니터링·성과 활용 강화 등

정부가 방역현장과 감염병 R&D 연계를 추진하고 상시 모니터링과 성과 활용을 강화하는 등 국가 차원의 선제·전 주기적 감염병 대응을 위해 미래부, 농림부 등 8개 부처 합동으로 '제2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2017년~2021년)'을 확정했다.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의 '제2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11일 열린 제12회 국가과학기술심의회(위원장 황교안 국무총리)에서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추진전략은 1차 추진전략(2012년~2016년) 종료에 따른 후속 전략으로 메르스 사태를 교훈 삼아 감염병 R&D와 국가방역체계와의 연계를 강화하고, 신·변종 해외유입 감염병이 증가하는 만큼 국제협력과 공조체계를 강화하는 것이 주요 특징이라고 보건복지부는 설명했다.

▲ '제2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2017년-2021년)' 요약.
정부는 이번 추진전략을 통해 ▲국가방역체계 확립을 위한 연구·기술 역량 확보 ▲신·변종 및 해외유입 감염병 대응체계 확립 ▲감염병으로 인한 경제·사회적 비용 절감 ▲백신 주권확보를 위한 백신 산업 육성을 주요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국가방역체계와 연계한 감염병 R&D 지원 강화 ▲감염병 R&D 부처 간 연계 및 범부처 총괄·조정 강화 ▲민·관 협력 및 R&D 성과관리 강화 ▲국제협력과 연구 인프라 강화 등 세부전략을 수립했고, 국가 감염병 중점관리 분야를 3대 유형과 10대 중점분야로 구분해 중점분야별 R&D 투자가 필요한 주요 기술을 선정했다.

국가방역체계와 연계한 감염병 R&D 지원 강화를 위한 세부 추진 전략은, 먼저 국가방역체계 전 주기에 걸쳐 R&D 지원을 통해 감염병의 사전유입 차단, 초기 현장대응, 확산방지, 의료환경 등을 개선하고, '판데믹(대유행) 감염병' 방역 현장에 필요한 기술개발을 강화해 의료기관의 현장 대응 역량 확보와 조기 대응, 현장 적용, 신속 차단, 확산 방지 역량을 확보할 계획이다.

감염병 R&D 부처 간 연계와 범부처 총괄·조정 강화를 위한 세부 추진 전략은 '국가과학기술심의회(R&D 정책·계획 심의, 예산 배분·조정)'와 '범부처 감염병 대응연구 개발추진위원회(정책·기본계획 수립, 투자방안·계획, 수요조사)'를 통해서 감염병 R&D의 전략성을 강화하고, 방역 당국(질병관리본부)이 감염병 R&D 추진현황을 상시 모니터링하기 위해 연구관리기관(한국연구재단,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등)-질병관리본부 간 감염병 연구정보 공유 네트워크를 구축(2016년 하반기)할 예정이다.

현장적용 필요기술 발굴과 연구성과 공유 등을 위해 감염병 연구포럼·감염병 연구워크숍 등 정기적 협력 채널을 마련해 산·학·연·관 협력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부처별 역할 분담과 부처 협업 확대를 위해 부처별 중점 지원 분야를 분담하고, 부처 협업시스템 구축과 다부처 공동기획 등을 통한 전주기 대응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며, 중점 지원 분야는 미래부(기초·기전 원천연구, IT), 보건복지부(사람), 농식품부(가축), 환경부(야생동물), 식약처(허가 및 평가), 안전처(피해예측과 환자이송) 등이다.

민·관 협력과 R&D 성과 관리 강화를 위한 세부 추진 전략은, 감염병 R&D 역량 확보와 확산방지를 위해 정부-민간 협력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정부지원(R&D 지원, 규제개선 등)과 민간수요와 역량(제품화, 생산시설 등)의 협력으로 R&D에서 산업화까지 전주기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위기상황별로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Two-track' 협력체계를 구축해 평상시에는 정보 교류와 연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위기 시 신속한 자원 동원을 위한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할 예정이다.

'범부처 감염병 대응연구 개발추진위원회(위원장 질병관리본부장)'를 중심으로, 감염병 연구성과가 방역체계에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모니터링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매년 부처별 감염병 R&D 추진현황을 파악해 중점분야별 성과 점검과 분석 결과를 국가과학기술심의회에 보고하고 향후 예산 배분과 다음 연도 기획에 반영할 계획이다.

국제 협력과 연구 인프라 강화를 위한 세부 추진 전략은, 최근 신종감염병이 빈발하는 아프리카, 동남아, 중동, 남미 국가들과 공동연구를 통해 검체, 병원균 확보, 임상연구 등을 추진하고, 상시 네트워킹을 구축할 계획이다.

질병관리본부 또는 국립보건연구원을 WHO 협력 센터로 지정을 추진하고, 국제백신연구소 등과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간 협력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해외 연구기관·국제기구와의 네트워크 구축 및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기초·원천 연구와 융합 연구를 활성화하고, 정보통신기술(ICT)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현장대응 능력을 강화하며, 감염병 연구자원(병원체, 항원 단백질, 유전자 등)의 공유 활성화를 통해 연구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감염병 연구 전문인력을 양성(DB 구축 등)하고, 이를 위한 전문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국제협력을 통한 전문가 양성 시스템을 운영할 계획이다. 또한, 정부는 국가 감염병 중점관리 분야를 신·변종 및 해외유입 감염병 대응 기술 확보, 미해결 감염병 대응능력 강화, 국가 감염병 안전망 구축 등 3대 유형·10대 중점분야로 구분해 중점분야별 향후 5년간 집중적으로 투자해야 할 기술을 선정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