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19 14:31 (금)
특별기획 말뿐인 금연진료 활성화 애 먹는 현실 '나몰라라'

특별기획 말뿐인 금연진료 활성화 애 먹는 현실 '나몰라라'

  • 최승원 기자 choisw@kma.org
  • 승인 2016.02.23 05:59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의협신문> 특별 기획 - '금연진료는…?' 의사 1073명 대상 설문조사
금연진료 참여 의지 높지만 제반 여건 '미흡' 여전
정부 약속대로 급여화 통해 안정적 진료환경 마련 요구

정부가 2015년부터 금연진료비 지원에 나서며 금연진료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지만 정작 의사들은 금연진료에 나서기까지 애를 먹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금연진료를 '어떤 가이드라인에 따라 해야 할지 모른다'거나 막상 '환자가 없어서' 금연진료를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협신문>이 설을 맞아 의사 1073명을 대상으로 3∼5일 금연진료 활성화를 위한 설문조사를 했다.

설문조사 결과, 금연진료에 대한 관심은 큰 것으로 확인됐지만 관련 정보가 없어 애를 먹거나 금연진료 청구방식이 불편해 금연진료에 나서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뱃값 인상 이후 정부의 금연진료 지원방침에 80%의 의사가 금연진료 교육을 받을 의향(42.5%)이 있거나, 이미 금연진료를 하기 위해 교육을 마쳤다(37.5%)고 답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 일러스트=윤세호 기자

80%의 의사가 정부가 2015년부터 금연진료비를 지원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또다른 조사항목의 응답경향과 비슷한 수치를 보였다.

하지만 이중 한 명이라도 금연진료를 한 의사는 10명 중 4명(37.7%)을 넘지 않았다. 금연진료를 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로는 '어떤 가이드라인에 따라 해야 할지 몰라서'라는 응답이 30.9%로 가장 많았다. '환자가 없어서(23.1%)'와 처방프로그램이 불편해서(19.9%)가 뒤를 따랐다.

▲ 일러스트=윤세호 기자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의 프로그램에 처방·청구를 별도로 해야 하는 초기 방식이 불편하다는 지적이 잇따르자 정부는 프로그램 개선조치를 했지만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83.4%의 의사는 정부가 약속한대로 금연진료 급여화를 통해 안정적인 금연진료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금연진료 환자가 없다'는 문제에 대해서는 금연진료 수가 인상을 통해 의사가 다른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방문하는 흡연자의 금연을 적극 권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91.9%의 의사는 다른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방문한 흡연자에게 적극적인 금연 권고를 할 수 있도록 '금연 동시진료 별도산정'을 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현재는 다른 질환과 금연진료를 동시에 할 경우 건강보험 청구원칙에 따라 두 질환 중 한 가지 질환에 대해서만 기본 진찰료가 산정된다.

▲ 일러스트=윤세호 기자

금연은 다른 질환치료보다 의사의 적극적인 권고와 상담이 필요한 만큼 다른 질환 진료와 금연진료를 병행하면 두 질환에 대한 진료비를 모두 산정해 일종의 인센티브를 줘야한다는 주장이다.

의사의 70.5%가 '다른 질환을 진료하기 위해 방문한 흡연자에게 금연진료를 권유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해 의사의 적극적인 금연권유를 어떻게 끌어낼지가 금연진료 활성화의 열쇠가 될 것으로 보인다. 19.9%는 '이미 권유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 일러스트=윤세호 기자

금연진료와 다른 진료를 병용했을때 금연진료비와 다른 진료에 대한 진료비를 별도로 산정해야 하는 이유를 물었다.

응답자의 56.4%가 '금연진료 특성상 금연진료를 권고해야 하는 수고가 들어가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43.6%는 '별도 진료비 산정을 통한 인센티브를 줘야 적극적으로 금연진료를 권고해 결과적으로 금연진료가 활성화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해 두 가지 답변으로 갈렸다.

금연진료 활성화를 위해 의사와 환자에게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할 필요성도 커 보인다.

적지않은 의사가 구체적인 금연진료 관련 사항에 대해 잘 모르고 있었으며 환자 역시 금연 필요성을 그다지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073명의 의사 중 금연진료비(금연상담료)가 얼마인지 아는 비율은 절반도 안되는 44%에 머물렀다.

올해부터 3회 이상만 진료를 받으면 환자부담금이 전액 면제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 비율은 더 낮은 36.5%에 그쳤다. 2015년 금연진료비로 쓰려고 834억원의 예산을 확보한 사실과 그중 불과 86억원만이 진료비로 지원됐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20.6%로 역시 낮았다.

환자에게 금연진료를 권고했다 거절당한 이유를 물었다. 55.2%가 '환자가 금연을 질환으로 인식하지 않고 있어서'라고 응답해 가장 많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12주 가량 되는 금연진료를 귀찮아 해서'가 25.7%, '치료제 효과를 확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19.1%로 뒤를 이었다.

적정한 금연진료비가 얼마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3만원 이상 4만원 미만'이 44.6%로 가장 많았다. 24.7%가 현행 초진 2만2830원, 19.5%가 '4만원 이상 5만원 미만'이라고 응답해 뒤를 이었다. 11.9%는 '5만원 이상 10만원 미만'을, 5%는 '10만원 이상'을 적정 금연진료비로 꼽았다.

▲ 일러스트=윤세호 기자

금연치료제로는 '챔픽스(성분명: 바레니클린)' 처방률이 89%로 압도적이었다. 선호하는 치료제를 처방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37.2%가 '금연효과가 좋아서'라고 응답했다. 30.2%가 '가장 많은 처방사례와 임상시험이 있어서'라고 응답해 뒤를 이었다. 하지만 챔픽스의 표준처방 기간인 12주를 다 채운 경우는 40.4%에 불과했다. 38.8%가 치료기간이 '8주 이하'를, 18%가 '9주 이상 11주 이하'를 평균 처방기간으로 꼽았다. 2.8%는 12주를 초과했다.

최근 정부가 12주 표준치료보다 짧은 8주 치료를 도입한데 대해서는 60.5%의 의사가 남용 가능성을 우려했다. 9.3%는 8주 단축진료 기간을 도입해도 '남용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30.2%는 특별한 의견을 밝히지 않았다.

정부가 지난해 약속했다 말을 바꿔 논란이 됐던 '금연진료 급여화'에 대해서는 83.4%가 '찬성'했다. 급여화 찬성 이유로는 30%가 '안정적인 금연진료가 가능해서'라고 말해 가장 많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28.7%가 '금연진료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어서'를, 22.3%가 '금연진료가 진료의 한 행태로 자리잡을 수 있어서'라고 답해 뒤를 이었다. 적지않은 비율인 19%가 '처방과 청구가 현 청구방식으로 일원화돼 간편해서'라고 응답해 건보공단 홈페이지에 별도 처방·청구하는 현 방식에 대한 부담은 여전했다.

금연진료 활성화 초기부터 현 처방·청구 방식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이어지자 정부가 지난해말 일부 시스템을 간소화했지만 여전히 불편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 1073명 중 남자 의사가 81.8%를, 여자 의사는 18.2%를 차지했다. 나이별로는 40대가 32.9%, 50대와 30대가 각각 26.7%, 26.5%로 고른 분포를 보였다. 내과와 가정의학과 참여율이 25.5%, 13.7%로 1·2위를 차지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