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20 06:00 (토)
국내 연구진, 조현병 원인 단서를 찾았다

국내 연구진, 조현병 원인 단서를 찾았다

  • 이정환 기자 leejh91@doctorsnews.co.kr
  • 승인 2016.01.22 11:52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권준수·허지원 교수팀, '조현형 성격장애'의 이상성 찾아

권준수 교수
남들과 다른 특이한 행동과 사고를 갖고 있는 조현형 성격장애. 본인이 느끼는 큰 불편감은 없으나 기이한 지각과 사고로 다른 사람과 어울리는 데 큰 어려움을 겪으며, 주요정신질환인 조현병과 생물학적·임상적 특징을 공유한다.

이 조현형 성격장애의 특성에 기여하는 원인 중 하나가 세계 최초로 밝혀져, 중증 만성정신질환인 조현병의 원인 규명에 획기적인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권준수 서울의대 교수(서울대병원 정신의학과)와 허지원 중앙대 교수(심리학과)팀은 2011년부터 2013년까지 2년간 조현형 성격장애 21명과 대조군 38명을 자페아 연구에 주로 쓰이는 생물성운동 애니매이션 자극을 주며 fMRI를 통해 비교했다.

보통 사람의 경우 여러 개의 점으로 구성된 이 생물성운동 애니메이션<그림 1>을 보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지만, 조현형 성격장애를 가진 이들에게는 보상회로가 크게 활성화 됐다.

보상회로란 '쾌락중추신경'이라고 불리며, 여러 가지 자극을 받을 때 도파민 분비를 조절하는 기관이다. 반면, 지각의 집행과 통제를 조절하는 뇌영역은 일반인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권준수 교수는 "이번 연구는 조현형 성격장애의 특이한 행동 및 사고가 도파민성 보상회로의 이상이라는 가능성이 처음으로 제시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림 1> 생물성운동 애니메이션 자극 모식도.
과거 정신분열병으로 불렸던 조현병은 일반인구에서 0.5∼3%의 유병률을 보이는데, 조현형 성격장애가 조현병으로 발전하는 전단계로 볼 수는 없다.

그러나 조현형 성격장애는 조현병과 생물학적 및 임상적으로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명확한 원인을 밝히지 못한 조현병 원인 규명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해 왔다.

정신증 최신 지견 중에 하나로 호프만 교수(예일대)가 제안한 '사회탈구심성 이론'을 들 수 있다. 인간의 뇌가 사회적으로 위축 단절되면 자기만의 사회적 관계를 구축하고자 환각과 망상을 경험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 증상이 조현병의 핵심이다.

허지원 교수는 "최근에는 정신증을 사회적 상호작용을 못하는 뇌의 이상으로 보는 연구가 활발하다"며 "이번 연구결과는 호프만 교수 이론의 신경학적 증거로 충분하며, 이를 토대로 조현병의 원인과 치료에 큰 진전을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생물성운동지각, 뇌 반응, 그리고 조현형 성격장애(Biological Motion Perception, Brain Responses, and Schizotypal Personality Disorder)'라는 제목으로 뇌과학 및 정신의학 분야 세계 최고 권위 학술지인 <미 정신의학저널>에 20일 게재됐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