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의원 운영 중단·이용자 자가격리·이동수단 분석 등 조치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이하 대책본부)가 부산지역 메르스 추가 확산 방지를 위해 총력 대응체계를 가동 중이라고 15일 밝혔다.
부산지역은 지난 5월 22일~28일 대전 대청병원에서 16번 확진자에 노출된 143번 확진자(남, 31세, 6월 13일 확진)가 지역 내 수 개의 병의원을 경유한 사실이 밝혀지면서 메르스 추가 확산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중앙긴급대응팀을 파견하는 등 부산지역 메르스 확산을 막기 위해 총력 대응 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대책본부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질병관리본부 역학조사관과 민관합동TF 소속 전문가(감염학회, 예방의학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의무기록팀 등으로 이루어진 중앙긴급대응팀을 즉시 현장에 파견했고, 부산지역 시청·구청 보건당국 등 지방 긴급대응팀, 병원 등 CCTV 분석을 위한 부산경찰청 과학수사대 요원 등과 긴밀하게 협업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이와 관련 "특히 CCTV 분석을 위한 과학수사대 활동은 역학조사 실무에서 큰 도움이 되고 있다"면서 "향후 타 시도에도 적극적으로 확산 적용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143번 확진자가 부산 보건환경연구원에서 메르스로 확진된 지난 12일 중앙역학조사관을 즉시 파견해 현장에서 역학조사를 진행한 바 있다.
확진자 노출정도가 큰 '좋은강안병원'은 현재 운영중단 조치됐고, 약 3시간을 경유한 'BHS한서병원'에 대해서는 이용자 등 명단을 확보해 자가격리 등의 조치가 시행 중이다.
또한, '부산센텀병원' 응급실, '자혜내과의원' 등에 대해서도 자가격리 등 조치를 시행 중이며, 확진자가 이용한 택시 등 이동 경로에 대해서도 면밀한 조사가 진행 중이다.
대책본부는 "민관 및 중앙·지방 협업을 통해 메르스 추가 확산 방지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 밝히고 확진자의 접촉자, 경유 병의원 이용자 등은 신고체계(109번, 지역번호+120번, 해당 시·군·구 보건소 등)를 통해 빠짐없이 신고해 줄 것과 보건당국의 자가격리 등 조치에 적극 협조해 줄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