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25 18:04 (목)
비만수술은 '귀족' 아닌 '저소득층' 위한 수술

비만수술은 '귀족' 아닌 '저소득층' 위한 수술

  • 송성철 기자 good@doctorsnews.co.kr
  • 승인 2015.04.13 11:21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험 있는 나라 중 유일하게 비급여...가난한 고도비만 환자들 방치
허윤석 교수 대한비만학회 공청회 발표...잘못된 인식부터 바꿔야

▲ 허윤석 인하의대 교수(인하대병원 외과)는 11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대한비만학회 춘계학술대회 '최적의 비만치료를 위한 공청회'에서 비만수술은 차선이 아닌 최적의 수술임을 강조했다. ⓒ의협신문 송성철
"비만수술은 귀족을 위한 수술이 아니라 가난한 사람들이 고통에서 벗어나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수술입니다."

허윤석 인하의대 교수(인하대병원 외과)는 11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최적의 비만치료를 위한 공청회'에서 "대부분 국가에서 체질량지수(BMI)가 40㎏/㎡를 넘거나, 35㎏/㎡를 넘으면서 동반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할 것을 권고했음에도 한국에서는 비만수술에 대한 오해와 왜곡으로 인해 환자는 물론 의사들도 수술에 부정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가장 많은 오해는 비만은 부자들의 귀족병이라는 인식.

질병관리본부가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1만 113명을 소득수준별 4개 집단으로 나눠 만성질환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저소득층 여성의 고도비만율은 고소득층 여성에 비해 2.7배 많았다. 남성도 저소득층이 1.4배 높았다.

저소득층에 비만환자가 더 많은 원인은 패스트푸드를 많이 먹고, 운동과 검진을 소홀히 할 수밖에 없는 환경적 요인이 자리하고 있다. 비만에 대해 교육을 받거나 의학정보를 접할 기회도 상대적으로 적다. TV는 온통 맛집·먹거리 등 '먹방'이 대세다.

허 교수는 "아직도 비만을 '귀족병'이나 개인이 감수해야 할 질환으로 여기는 오해와 편견이 팽배하다"면서 "한국은 국가의료보험이나 사회보험제도를 갖고 있는 나라 가운데 유일하게 비만수술에 대해 보험급여를 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고도비만은 당뇨·고혈압·이상지질증 등 심각한 만성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의료비를 증가하고, 노동생산성을 떨어뜨리는 비만을 '21세기 신종 전염병'으로 규정했다.

아직까지 수술이외의 방법으로 치료가 불가능한 국내 고도비만 환자는 국내 인구의 3.8∼4.8%(185만 명∼25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비만수술에 대해 보험급여를 해야 한다는 새누리당 문정림 의원을 비롯한 일부 국회의원과 의학계의 줄기찬 요구에 보건복지부도 2018년부터 건강보험을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허 교수는 "최근 발표된 가이드라인에는 당뇨병이 있는 비만환자의 경우 적극적으로 수술을 받도록 권고했다"면서 "적은 근육량에 비해 지방이 많고, 합병증이 잘 발생하는 동양인의 경우 BMI 35 이상이거나 동반질환이 있는 경우 30∼34까지, 약물이나 인슐린 등으로 당뇨 조절이 어려운 경우에는 27.5까지도 비만수술을 권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계의학계는 적극적인 비만수술로 변화하고 있지만 아직도 한국 의학계는 수술에 대해 소극적이거나 제대로 모르고 있다는 것이 허 교수의 진단.

2012년 한국보건의료연구원에서 시행한 국내 의사들의 고도비만 수술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보면 BMI 35∼39 환자에게 수술을 권고하겠다는 응답은 7.4%, BMI 40 이상은 29.8%에 불과했다. 비만수술을 권고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절반 가량이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근거 부족을 들었다.

허 교수는 "미국국립보건원(NIH)가 1991년 비만치료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이후 세계의학계는 고도비만환자의 수술 치료 근거를 레벨 I으로, 권고수준은 A로 규정했다"면서 "아직도 의사들 사이에 효과와 안전성에 대한 근거 부족을 이야기 하는 것은 충격적"이라며 "비만대사수술이 뭔지 모르거나, 대학에서 제대로 가르치지 않았거나 둘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모든 비만은 치료가 가능하고, 단계별로 적절한 치료법이 있다"고 강조한 허 교수는 "당뇨병과 친구가 되자고만 할 게 아니라 약으로 버틸 수 없다면 수술을 해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점을 알려줘야 한다"고 밝혔다.
▲ 11일 열린 대한비만학회 춘계학술대회 '최적의 비만치료를 위한 공청회'는 최윤백(울산의대)·김성래(가톨릭의대) 교수가 좌장을 맡은 가운데 김선미(고려의대)·김보연(순천향의대)·목지오(순천향의대) 교수와 김종화 세종병원 내분비내과장이 지정토론자로 참석, 비만수술에 대해 논의했다. ⓒ의협신문 송성철
공청회 지정토론자들은 하루 빨리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항목에 비만대사수술을 포함해 고도비만 환자들이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에서 벗어나도록 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김선미 고려의대 교수(고대 구로병원 가정의학과)는 "BMI 45이상 환자는 약물치료로 한계가 있다"면서 "수술비가 비싸서 수술을 못받는 경우가 많은데 보험이 빨리 적용됐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비만대사 수술에 대해 의사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보연 순천향의대 교수(순천향대 부천병원 내분비내과)는 "고도비만 환자가 왔을 때 적극적으로으로 수술을 하는 것으로 알고는 있지만 수술비용이 가장 문제인 것 같다"며 "외과에서도 6명을 보내면 1명만 수술할 정도로 아직은 수술로 인한 이득에 대해 확신을 주지 못하는 것 같다"고 언급했다.

목지오 순천향의대 교수(순천향대 부천병원 내과)는 "고도비만과 미용수술은 구분을 할 필요가 있다"면서 "단순 비만과 가임기 여성 등 다양한 환자의 상태에 따라 대사비만수술 가이드라인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비만치료를 놓고 내과와 외과 의사들이 공감대를 형성해야 한다는 주문도 나왔다.

김종화 세종병원 내분비내과장은 "외과와 내과와의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면서 "효과적인 수술법에 대한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허 교수는 "건강보험 급여를 앞두고 외과학회 연수강좌를 비롯해 훈련 과정을 마련해 비만수술에 대해 정확히 알리고, 수술법을 공유해 나가겠다"면서 "비만수술 후에는 내과적 관리가 중요한 만큼 내과와 긴밀히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장을 넓혀나가자"고 과간 긴밀한 협조를 당부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