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3-28 17:57 (목)
'남성호르몬 억제제'만으로 전이성 전립선암 치료
'남성호르몬 억제제'만으로 전이성 전립선암 치료
  • 이정환 기자 leejh91@doctorsnews.co.kr
  • 승인 2014.07.30 11:07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약 '엔젤루타마이드' 복용 시 전립선암 진행·사망위험 각각 81%·29%↓
서울아산병원 김청수 교수, 전립선암 환자 1717명 대상 평균 17개월 추적관찰

우리나라 남성에서 가장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전립선암 치료에 차세대 남성호르몬 억제제인 '엔젤루타마이드'가 단독으로 쓰여도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비뇨기과 김청수 교수는 미국 오리건 보건과학대학의 암센터 토머스 비어 박사 등이 주도한 미국·유럽 등의 국제연구팀에 공동연구자로 참여,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 1717명을 대상으로 임상3상 연구를 시행한 결과, 엔젤루타마이드 복용이 암 진행 및 사망 위험을 현저히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전 세계 207개 센터에 등록된 1717명의 환자를 평균 17개월간 추적 관찰한 이번 국제 연구결과는 세계 최고 권위의 의학저널인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NEJM)>에 게재돼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전립선암은 특징적으로 남성호르몬 수용체를 가지는데, 거세 치료와 같이 혈중 남성호르몬 수준을 낮추면 수용체를 통한 세포 신호 전달 체계가 차단됨으로써 전립선암이 사멸되게 된다.

그러나 혈중 남성호르몬을 차단했음에도 뼈 등 다른 부위로까지 암이 진행되는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의 경우, 도세탁셀(Docetaxel)이라는 항암제와 함께 엔젤루타마이드와 같은 남성호르몬 수용체 억제제를 이용하고 있다.

엔젤루타마이드(Enzalutamide)는 경구로 복용하는 최근 상용화된 차세대 남성호르몬 수용체(Androgen-receptor) 억제제로,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에서 항암치료 후 복용 시 생존의 증가를 보였지만, 항암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에게 단독으로 쓰였을 때 그 치료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항암치료를 받은 적이 없는 전이성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 1717명을 엔젤루타마이드 복용군(872명)과 가짜약 복용군(845명)으로 나눠, 엔젤루타마이드(혹은 가짜약) 160mg을 1일 1회 복용시켰다.

복용 치료 효과는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의 암 진행 및 사망 위험도를 통해 확인됐다. 암 진행 위험도는 방사선 진단상 무진행 생존기간으로, 사망 위험도는 총 생존율로 각각 평가했다.

추적 관찰 12개월 째 무진행 생존기간율을 살펴봤을 때 엔젤루타마이드 복용군은 65% 가짜약 복용군은 14%로 나타나, 엔젤루타마이드 복용시 암 진행 위험도가 무려 81%(조정값)나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추적 관찰 33개월 째 총 생존율을 살펴봤을 때 엔젤루타마이드 복용군에서 626명(72%)의 환자가 생존했고 가짜약 복용군에서 532명(63%)의 환자가 생존해, 엔젤루타마이드 복용시 사망 위험도가 29%(조정값) 감소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엔젤루타마이드는 이처럼 암 진행 및 사망 위험도를 낮추는 것 외에도 ▲항암치료 시작까지의 기간 증가 ▲골전이 합병증(skeletal related event) 감소 ▲전립선 특이항원(PSA) 증가 등과 같은 2차적 관점에서의 치료 이득도 가져왔다. 다만 피로감과 고혈압이 엔젤루타마이드의 임상 합병증으로 가장 흔하게 나타났다.

김청수 교수(아산생명과학연구원장)는 "엔젤루타마이드는 '도세탁셀'이라는 항암제로 치료한 전력이 있는 거세저항성 전립선암 환자들을 위한 2차적인 약물로 쓰여왔지만, 이번 연구는 환자들이 도세탁셀을 거치지 않고 엔젤루타마이드를 직접 사용했을 때 그 효과를 직접 확인할 수 있었던 연구"라고 설명했다.

또 "병원에서 주사해야 하는 기존 항암제와는 달리 하루에 한 번 먹는 것만으로도 암 진행 및 사망 위험도를 크게 낮췄다는 점은 전립선암 환자들에게 큰 희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국제 공동연구는 의학저널인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NEJM)> 6월호에 게재됐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