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3-28 17:57 (목)
청진기 의사의 외줄타기
청진기 의사의 외줄타기
  • Doctorsnews admin@doctorsnews.co.kr
  • 승인 2010.05.24 10:12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보문(가톨릭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정신과/인문사회의학과)
▲ 최보문(가톨릭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정신과/인문사회의학과)

한 인문계 교수가 하는 말이, "의사도 감정노동자야. 불쾌하거나 피곤해도 환자에게 늘 웃어야 하잖아?" 과연 그러한가? 과연 그렇게 단순한가?

의사를 감시하는 것은 정부규제나 민심만이 아니다. 의사 내부에 감시하는 간수가 있으니, 그것은 '좋은 의사'됨에 대한 강박관념이다. '좋은 의사'는 환자와 공감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있고, 그래서 의사를 비난할 때 먼저 들먹이는 것도 몸만 치료하는 의사상이다.

의사의 공감능력이 비난의 도구로 사용되기 시작한 역사는, 윌리엄 오슬러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근대의학의 아이콘과 같은 오슬러가 말년을 지낸 옥스퍼드 의과대학에서 한 유명한 강의 'Aequanimitas(의사의 평정심)'가 그 시발점이다.

의사의 자질 중 하나인 평정심을 그는 '초연한 관심(concerned detachment)'이라는 용어로 표현했다. 환자를 걱정하고 고통에 공감하되(concern) 올바른 의학적 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침착함과 객관성을 유지해야 하고, 그러려면 환자의 고통으로부터 떨어져 있어야(detachment)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환자로부터 거리를 둔다'는 이 용어가 일부 사회과학자들에게는 얼마나 구미에 맞는 말이었던가. '고통으로부터 멀어진 의사', '전문지식만 갖춘 의사' 등은 의사를 공격할 때마다 선두에 내세우는 용어가 되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이 용어는 의사 스스로를 규정하는 단어가 된다.

의과대학마다 공감능력을 키우기 위해 소위 '인성을 고양'할 커리큘럼을 만들고 심지어는 책 200권 읽고 독후감 쓰기를 계획하는 곳도 있다.

그리해서 인성이 완성된다면 이 세상은 얼마나 살기 좋은 곳이 되었을까라는 의문은 차치하고서라도, 공감능력만으로 의사의 인성을 판단한다는 것이 얼마나 무지한 일인지 한번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

'공감'을 정의하자면, 자신의 관점과 가치관을 벗어두고 상대의 세계에 들어가 똑같이 생각하고 느끼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급박한 절명의 상황에서 가장 적절한 결정을 해야 할 때 의사자신의 관점을 벗어두고 환자와의 공감만 강조하는 것이 과연 현명한 것일까.

화상환자의 죽은 조직 제거치료나 복강루 환자의 세척 예에서부터 환자와의 거리두기가 없이는 진료하기 어려운 무수한 상황을 생각해보시라.

이미 오래전부터 서구에서는 '초연한 관심'에 대한 재해석을 필두로 '공감'의 재정의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어왔다. 오슬러가 말한 '떨어져 있기'는 아리스토텔레스의 균형(equipoise)과 같은 의미라는 주장이 그것이다.

갈등상황에서는 공감하는 것과 거리두기 사이에 균형을 맞추어서 일을 수행해야 한다는 의미이니, '우선 환자의 고통에 공감하되, 그에 흔들리지 말고 의사의 임무에 충실하여 냉철하게 쾌도난마의 결정을 내려야 한다'는 말이 되겠다.

곡예와 같은 이 어려운 일을 어찌 스튜어디스의 감정노동과 비교할 것인가. 어찌되었든 외줄 위에 선 의사는 오늘도 기우뚱거린다. 내 맘도 다스리기 어려운데 '의사'의 마음도 다스려야 하니 말이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