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26 06:00 (금)
다시 불붙은 '동서신의학병원' 논란

다시 불붙은 '동서신의학병원' 논란

  • 이현식 기자 hslee@kma.org
  • 승인 2006.08.07 18:13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용상 의료일원화위원장, 본지 특별기고문 큰 반향
경희의대 교수, 이에 대한 반론 기고문 게재 요청해와

의료기관 명칭으로 '신의학'이 적절한가에 대한 복지부 민원으로부터 촉발된 논쟁이 다시 '과연 협진이 필요한가'라는 제2의 논란으로 불거지고 있다. 논의의 핵심은 한의학이 현대의학의 협진 카운터파트로 적절한가 여부다.

유용상 의협 의료일원화특별위원장은 의협신문 지난 7월 31일자에 '동서신의학병원 논란에 대하여' 라는 제목의 특별기고문을 통해 "정부는 한의학 연구에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의·한방 협진을 권장하고 있지만, 자연법칙에 맞지 않는 한의학적 연구방법으로는 천년을 가더라도 보편적 결과가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권장하는 의·한방협진은 약해질대로 약해진 환자들로부터 금전적 이익을 획득하는 교묘한 합법적 수단"이라고 정의를 내렸다.

또한 "한의학의 음양오행적 기초이론들은 관념의 허상에 불과할 뿐 자연법칙과 맞지 않기 때문에 연구해보아야 나올 것이 없다"며 "다만 과학적 방법으로 한약재를 분석해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것은 다른 문제"라고 덧붙였다.

이러한 사실이 알려지자 경희의대에 재직하고 있는 P교수가 '동서신의학병원 논란에 대한 다른 생각' 제하의 반론 기고문을 의협신문에 보내왔다.

P교수는 "비현실적인 수가 체계와 치열한 경쟁의 와중에서 의사들이 선택한 생존전략 가운데 하나가 의·한협진"이라고 전제하고 "이런 상황에서 협진에 대한 비판은 충분히 나올 법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P교수는 협진을 상업성만을 이유로 비판하기는 힘들다고 지적했다. 그는 "지나친 상업성의 문제는 의·한방 협진에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정통의학에서도 끊임없이 나오는 문제이며, 의료의 어느 분야에서든지 경계할 중요 과제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이제 정통의학에 보완(대체)요법을 수용할 것인가 말 것인가의 문제차원에서 머물 게 아니라 앞으로 풀어야 할 문제는 '정통의학에 한의학을 어떤 방법으로 수용할 것인가' '어떤 한의사와 협력할 것인가' '어떤 질환일 때 한의학과 협력하는 것이 좋을까' 등"이라고 말해 또 한번 논란에 불을 지폈다.  P교수의 글은 의협신문 8월 10일자 오피니언란에 게재될 예정이다.

한편 이에 앞서 보건복지부는 의료기관 명칭으로 '신의학' 명칭을 사용하는 것이 의료법상 타당한지를 질의한 주수호 전 의협 대변인의 민원에 대해 "적절하지 않다"고 회신했다. 복지부는 그러나 위법이라고 단정짓기도 어렵다는 애매모호한 입장을 밝혔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