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3-29 21:36 (금)
땀 투과 문제 해결 피부부착형 '맥파센서' 개발
땀 투과 문제 해결 피부부착형 '맥파센서' 개발
  • 이영재 기자 garden@kma.org
  • 승인 2021.08.18 14:56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영호 KAIST 교수팀, 건강 상태 상시·장기 모니터링에 활용 가능
접촉성 피부염·가려움증 없고 피부접촉 면적 넓혀 신호 정확도 ↑
[그림 1] 다공성 헤어셀 구조의 맥파센서: (a) 맥파센서 상단면 현미경 사진/(b) 헤어셀 높이별(0um, 50um, 100um) SEM 사진. 
[그림 1] 다공성 헤어셀 구조의 맥파센서: (a) 맥파센서 상단면 현미경 사진/(b) 헤어셀 높이별(0um, 50um, 100um) SEM 사진. 

피부에 장기간 부착시에도 접촉성 피부염·가려움증 등을 일으키지 않고, 피부부착 면적을 획기적으로 넓혀 정확한 맥파 신호를 확보할 수 있는 신개념 맥파 센서가 개발됐다. 

조영호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팀(석민호 박사과정)은 17일 피부에서 발생하는 땀을 실시간으로 투과시켜 피부 접촉 면적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다공성 헤어셀 구조의 맥파 센서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맥파는 심장이 박동할 때 발생하는 파동으로 인체의 건강상태를 가늠할 수 있으며, 헤어셀 구조란 피부의 섬모와 같이 다공성 표면 위에 여러 개의 섬모가 형성돼 있는 구조를 말한다. 

이번에 개발된 다공성 헤어셀 구조의 맥파센서 기술은 맥파 외에도 피부 온도, 피부 전도도 등 다른 생체신호 센서 결합을 통해 사람의 신체 및 정신 건강 상태를 상시로 장기간 판별하는 연구에 적용하게 된다.  

기존 폴리머 기반 맥파 센서의 땀 투과도는 피부의 하루 평균 땀 발생량(432g/㎡) 보다 낮아 장기간 부착 시 접촉성 피부염·가려움 등의 피부 문제를 일으키고, 피부에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면적이 작아 정확한 맥파 신호를 얻을 수 없었다(신호대잡음비 = 2.67). 

[그림 2] 다공성 헤어셀 구조의 맥파센서 공정 과정.
[그림 2] 다공성 헤어셀 구조의 맥파센서 공정 과정.

조영호 교수팀은 이 문제 해결을 위해,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고분자 내에 구연산을 결정화 후 에탄올로 녹여 작고 균일한 공극을 형성함으로써 맥파 센서의 땀 투과도를 높였다. 또 다공성 고분자 표면에 헤어셀 구조를 형성해 피부와의 접촉면적을 획기적으로 넓혀 맥파 센서 측정 정확도를 개선한 다공성 헤어셀 구조의 맥파 센서를 제작했다. 

새로 개발한 맥파 센서의 땀 투과도(486g/㎡)는 피부의 하루 평균 땀 발생량보다 높았으며, 기존 기술 대비 72% 증가했다. 또 7일 연속 부착실험을 통해 피부에 장기간 부착 시에도 트러블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사실도 입증했다. 신호대잡음비는 22.89로 나타나, 기존 기술 대비 측정 정확도는 약 9배 높았다. 

조영호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피부 트러블 없이 건강 상태를 상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웨어러블 센서를 개발했으며, 인공피부로서 상시 사용성도 확립했다"고 강조했다.

석민호 박사과정이 주도한 이번 연구 논문은 국제학술지 <나노스케일 어드벤시스(Nanoscale Advances)>  7월 27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논문명은 'A Porous PDMS Pulsewave Sensor with Haircell Structures for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and Signal-to-Noise Ratio Enhancement'.

이번 연구는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사업의 지원을 통해 수행됐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