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3-29 06:00 (금)
"코로나19 중증 500명, 1000명 되는 건 시간 문제"
"코로나19 중증 500명, 1000명 되는 건 시간 문제"
  • 이정환 기자 leejh91@doctorsnews.co.kr
  • 승인 2020.03.06 06:00
  • 댓글 1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문가들, 확진환자 감소해도 2주 뒤 경증→중증 전환 가능성 우려
의협-미래통합당, 대통령 긴급명령권 촉구…국방부 시설·인력 동원해야
ⓒ의협신문
ⓒ의협신문

코로나19 확진 환자가 5일 오후 6000명을 넘어서면서 환자 치료에 비상이 걸렸다. 확진 환자가 급증한 대구·경북 지역의 경우 운영할 수 있는 치료 병상이 바닥이 났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코로나19 확진 환자가 증가세를 멈추지 않자 2일부터 무증상 경증 환자들을 생활치료센터에 입소,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경증 환자는 생활치료센터에서 관리하는 대신 중증 환자는 음압시설을 갖춘 감염병 치료병상에서 치료하겠다는 전략이다.

전문가들은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한 대다수 경증 환자들이 중증 환자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며 "대통령 긴급명령권 발동 등 강력한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전문가들은 "경증 환자들이 일정 기간이 지나면 중증 환자로 전환될 수 있고, 기존에 치료를 받고 있는 중증 환자는 물론 다른 질환으로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까지 감안하면 늘어나는 중증 환자 치료를 감당할 수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같은 우려는 대구·경북지역에서 이미 확인되고 있다.

가장 많은 확진 환자가 발생한 대구지역의 경우 자체적으로 입원 치료할 수 있는 능력은 1000여명 정도이다. 나머지 확진 환자 가운데 중증 환자는 다른 지역 종합병원으로 전원하고 있지만, 나머지 2000여명이 넘는 확진 환자들은 집에서 입원 치료 순서를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다. 5일 오후 4시 39명의 사망자 중 38명이 대구(26명)와 경북(12명)에서 발생했다. 자가 격리 중 증세가 악화, 사망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이런 상황에 이르자 대한의사협회는 의사가 확진 환자의 상태를 평가해 ▲무증상(asymptomatic) ▲경증(mild) ▲중증(severe) ▲위중(critical)의 4단계로 분류하고 중증도에 맞게 치료 전략을 세울 것을 제안했다. 

무증상 확진자는 △의식 명료 △50세 미만 △기저질환 없음 △해열진통제 복용없이 체온 37.5도 미만 △비흡연자 △두통·기침·인후통·가래·피로감·근육통·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없는 경우로 정의했다. 이들 무증상 확진자는 병원이 아닌 연수원이나 호텔 등에 격리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경증 확진자는 △50세 이상 △기저질환 1개 이상 △해열진통제 복용으로 체온 38도 이하로 조절 △호흡곤란을 제외한 1개 이상의 증상 △흡연자 중 하나라도 해당되는 경우로 정의했다. 경증 확진자 역시 연수원이나 호텔 등 시설격리를 원칙으로 하되, 의사 판단에 따라 입원할 수 있도록 규정했다.

중증 확진자는 의식이 명료한 상태에서 ▲해열진통제 복용 중 체온이 38도를 넘거나 ▲호흡이 곤란한 경우로 분류했다. 중증 확진자는 감염병 전담병원이나 국가지정 음압병실에서 치료토록 했다.

위중은 ▲의식이 떨어진 경우로 국가지정 음압중환자실에서 치료하는 것을 원칙으로 했다.

정부도 의협의 제안을 적극적으로 수용, 무증상 및 경증 확진자를 생활치료센터에서 격리하고 있다.

하지만 대구·경북 지역은 확진 환자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중증 환자가 계속 늘어나면서 자체 역량으로 막아낼 수 없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최근 중국에서 실시한 대규모 연구와 국내 환자의 역학적 특징 등을 고려한 코로나19의 특성에 비춰볼 때, 약 20%의 환자들이 중증(치명률 높은 위중 환자 5% 포함)으로 악화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확진 환자 5000명을 기준으로 중증 환자가 250여에 달할 것으로 추산할 수 있다.

전국 29곳 국가지정 음압 입원치료병상이 198개인 것을 고려하면 이미 수용 인원을 넘긴 셈이다.

음압시설이 아닌 국가 지정 일반 격리시설 337개 병상도 기존 확진 환자들이 4단계 분류(경증-중등도-중증-최중증) 이전부터 입원 치료를 받고 있어 국가지정 입원병상을 더는 가용할 수 없는 실정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민간의료기관의 음압입원치료병상까지 포함하면 1000여 병상이 있다고 밝혔지만, 현재 확진 환자 증가 속도와 전문 의료인력을 고려하면 중증 환자들이 제대로 치료를 받기 어려운 상황도 벌어질 우려가 있다.

더 큰 문제는 현재 무증상 및 경증 환자로 분류돼 생활치료센터에서 격리 치료를 받는 환자들이 1∼2주일 사이에 중증으로 악화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서울 A대학병원 의료진은 "코로나19의 경우 증상 발현 후 1주일부터 2주 사이 중증 환자가 된다"면서 "확진 환자 수가 줄고 있더라도 앞으로 중증 환자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이라며 "정부와 의료계는 이제부터 중증 환자 입원 치료를 위한 대책을 세워 놓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금은 250여명이 중증 환자군에 포함되지만, 확진 환자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경우 500명, 1000명이 중증 환자가 될 수 있다는 얘기다.

B대학병원 관계자는 입원 치료 병상 부족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국립중앙의료원은 물론 권역별로 공공병원 전체를 비워 코로나19 확진 환자 급증 사태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관계자는 "메르스 사태 당시 중증 환자가 증가하면서 국립중앙의료원 전체를 비운 경험이 있다"며 "이 경험을 살려 권역별로 공공병원을 코로나19 입원 전담 치료 병상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면서 "국립중앙의료원을 비롯해 권역별 공공병원은 음압 수술실을 설치해야 하고, 중환자실 전체를 음압시설로 개조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병원 전체를 중증환자 입원 치료에 초점을 맞추면 감염 위험과 의료진 부족으로 외래환자를 진료할 수 없게 된다"면서 "이는 안심병원에서 도와줘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국립중앙의료원 관계자는 "현재 전원 지원상황실을 운영하고 있다. 전국적으로 격리병상은 약 1500여개 수준으로 파악하고 있지만, 모두 중증 환자를 수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전체 485 허가 병상 중 58병상까지 코로나19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병상으로 만들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대한의사협회와 미래통합당은 부족한 병상과 의료인력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3일 대통령이 긴급명령권을 발동할 것을 건의했다.

대통령이 현 상황을 준 전시 상태로 규정하고, 경증환자 집중 관리가 가능한 격리시설의 확보와 의료인력과 장비의 집중 투입을 위해 헌법과 감염병 예방에 관한 법률에 의거, 긴급명령권을 즉각 발동하라는 것.

이를 통해 국방부가 보유한 인력·시설·자원을 총동원해 위기 극복에 적극 나설 것도 촉구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