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3-29 09:09 (금)
고관절 수술 '부위마취' 전신마취보다 '사망률·부작용' 낮아
고관절 수술 '부위마취' 전신마취보다 '사망률·부작용' 낮아
  • 송성철 기자 medicalnews@hanmail.net
  • 승인 2020.01.08 15:05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환자실 입원율  8.6%포인트 낮아...섬망·뇌출혈·폐색전증 발생 적어
서울백병원 등 마취통증의학과 공동연구팀, 고관절 수술 9만 6천 명 분석
인제의대·중앙의대·서울의대 공동연구팀이 대규모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활용, 고관절(엉덩관절) 수술 시 전신마취에 비해 부위마취를 한 경우 사망률과 부작용이 더 낮다는 연구결과를 영국의학저널(BMJ)이 발간하는 'BMJ Open' 저널 최근호에 발표했다. ⓒ의협신문
인제의대·중앙의대·서울의대 공동연구팀이 대규모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활용, 고관절(엉덩관절) 수술 시 전신마취에 비해 부위마취를 한 경우 사망률과 부작용이 더 낮다는 연구결과를 영국의학저널(BMJ)이 발간하는 'BMJ Open' 저널 최근호에 발표했다. ⓒ의협신문

고관절(엉덩관절) 수술 시 전신마취에 비해 부위마취를 한 경우 사망률과 부작용이 더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인제의대·중앙의대·서울의대 공동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 자료를 이용, 2009∼2015년까지 고관절 골절로 수술을 받은 65세 이상 환자 96,289명(전신마취 2만 5593명+부위마취 7만 69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 결과(Comparison of general anaesthesia and regional anaesthesia in terms of mortality and complications in elderly patients with hip fracture: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를 영국의학저널(BMJ)이 발간하는 'BMJ Open' 저널 최근호에 발표했다.

공동연구팀은 평가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나이·성별 등 유사 조건을 설정,  전신마취 수술 환자 그룹 25,593명과 부위마취 수술 환자 그룹 25,593명을 선별 분석했다.

연구 결과, 부위마취 환자 그룹 사망률은 2.24%로 전신마취 환자 그룹(2.55%)보다 낮았다. 

수술 후 중환자실 입원율도 부위마취 그룹이 22.8%로 전신마취 그룹(31.4%)에 비해 8.6%포인트 더 낮았다. 인공호흡기 착용률 역시 부위마취  그룹이 1.7%로 전신마취 환자그룹(4.7%)보다 3%포인트 낮았다.

고관절(엉덩관절) 수술 시 전신마취 그룹에 비해 부위마취 그룹에서 중환자실 입원율·섬망·뇌출혈·폐색전증 등의 발생률이 더 적은 것으로 파악됐다. [자료=<span class='searchWord'>서울백병원</span>]
고관절(엉덩관절) 수술 시 전신마취 그룹에 비해 부위마취 그룹에서 섬망·뇌출혈·폐색전증 등 부작용 발생률이 더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자료=서울백병원]

공동연구팀으로 참여한 서울백병원 마취통증의학과 방시라·안은진 교수팀은 "고관절 골절 수술 환자의 부작용이나 합병증 발생이 부위 마취를 받은 환자군에서 더 낮았다"면서 "노인 수술에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부작용인 섬망 발생률 또한 부위마취 그룹이 20.2%로 전신마취를 받은 환자(22.7%)보다 낮았고, 뇌출혈과 폐색전증도 부위마취를 받은 환자에서 유의미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고 밝혔다.

고관절 골절로 수술한 96,289명의 평균 나이는 79세였으며, 사망률은 2.45%였다. 성별로는 여성 74.3%(71,541명), 남성 25.7%(24,748명)였다.

수술은 대학병원급 72.5%(69,814명), 종합병원급 26.2%(25,320명), 의원급 1.2%(1,155명)에서 진행한 것으로 파악됐다.

안은진 인제의대 교수는 "명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마취 방법의 특성이 달라 사망률과 부작용 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며 "하지만 혈액 저류·혈액 응고 장애·심장 판막 질환·뇌 질환 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하반신 마취가 전신마취보다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에 따라 적절한 마취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span class='searchWord'>서울백병원</span> 마취통증의학과 방시라·안은진 교수. ⓒ의협신문
서울백병원 마취통증의학과 방시라·안은진 교수. ⓒ의협신문

전신마취는 진통·근육 이완·진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마취 방법으로 수술을 하는 동안 마취제를 지속해 주입한다. 전신마취 도중 근육이완제를 투여하기 때문에 자발적 호흡을 할 수 없으므로 기계 환기를 해야 한다.

부위마취는 수술 부위를 포함하는 부분에 국소적으로 마취를 하는 방법으로 고관절 수술 시에는 주로 하반신 마취를 시행한다. 하반신 마취는 하지 쪽 신경만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마취약제에 의한 전신적인 작용은 없다. 전신마취와 같이 깊은 수면을 하지 않아도 통증을 느끼지 않는다.

방시라 인제의대 교수는 "고관절 골절 수술 시 전신마취와 부위마취 선택에 대한 문제는 마취통증의학과 의사들 사이에는 지속적으로 논쟁거리"라면서 "이번 연구는 임상적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연구의 한계점이 있지만 우리나라 최초로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이용한 대규모 최신 데이터를 분석한 연구"라고 설명했다.

방 교수는 "고관절 수술 시 부위마취 환자에서 사망률·부작용·합병증 감소 등 수술 후 결과에 다양한 이점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며 "고관절 골절 수술 시 마취 유형을 주의 깊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