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3-28 17:57 (목)
20세기 미국 초능력 연구와 21세기 한국 한의학 연구
20세기 미국 초능력 연구와 21세기 한국 한의학 연구
  • Doctorsnews admin@doctorsnews.co.kr
  • 승인 2019.01.21 06:00
  • 댓글 3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의학 연구, 외부 전문가 참여시켜 연구 질 끌어올려야

1984년, 유명한 초능력자 유리 겔라가 KBS에 출연해 국민을 놀라게 했다. 당시 기사를 찾아보면 그의 능력을 따라하려다 다치는 학생들이 속출했고, 어느 지역 교육청에서는 교사들을 세워놓고 초능력을 뽐낸 중학생도 있었다고 한다. 

나중에 겔라의 행위들은 제임스 랜디에 의해 마술사들이 쓰는 트릭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탄로났고 겔라도 시인했다. 마술사 출신인 랜디는 전세계의 초능력자들에게 그 어떤 초자연적 능력도 없다는 사실을 낱낱이 드러냈다. 

한 때는 공영방송 KBS마저 사기꾼에게 국민 전체가 속도록 일조했던 시절이 있었지만 이제는 초능력을 믿는 사람들이 많지 않아 보인다. 어디서든 초능력이 있다면 동영상을 찍어 유튜브에 올려 세계적인 스타가 될 수 있는 시대가 되어서 '우리가 모르는 곳에는 초능력자가 있지 않을까'하고 믿을 여지가 사라졌다.

과거에는 달랐나보다. 미국 국방부와 CIA도 초능력의 존재를 믿어서 초능력을 군사 작전에 활용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했고 초능력 부대도 운용했다. 특히 1970년대에 시작된 '스타게이트 프로젝트(Stargate Project)'는 2000만 달러의 예산이 투입됐는데 아무런 가치 있는 결과를 내놓지 못하고 1995년 종료됐다.

유리겔라
유리겔라

초능력이 존재하는지 검증부터 했다면 오랜 기간 막대한 예산을 낭비하는 일을 막을 수 있었을 텐데 왜 그러지 못했을까? 초능력자들의 트릭을 간파하기 어려워서였을까? 미국에서는 초능력자를 찾을 수 없어도 소련에서는 초능력자들을 훈련시키고 있으리라는 불안감 때문이었을까? 

당시 사정이 어땠는지 정확한 이유는 모르겠지만 어쨌거나 우리가 교훈을 얻어야 할 두 가지가 있다. 어디서 많은 예산을 들여 연구를 하고 있다는 사실이 그 연구대상을 입증하는 증거는 아니라는 점과 스타게이트 프로젝트 같은 한심한 행태를 우리가 벌이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볼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우리의 가장 유력한 후보는 한의학이다. 진맥으로 질병을 진단하거나 경혈에 침을 찔러 병을 치료한다는 개념 모두 초능력과 다를 바가 없다. 동의보감을 보면 빠진 이빨이 새로 나게 하고 죽은 사람을 살려내는 등의 초능력과 같은 처방이 수두룩하다. 우리와 중국이 한의학에 투자를 많이 하고 있는데 미래에는 초능력 연구 같은 수치스러운 역사로 기억될지 모를 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인의 조상들이 개발해 우리의 조상들이 믿었다는 이유로 한의학에 대해 근거를 '창출'하고 '과학화'하라고 한의약육성법도 제정하고 매년 수백억 원의 연구 예산을 투자한다. '근거 창출'이나 '과학화'는 앞뒤가 맞지 않는 표현이다. 초능력에 대한 근거를 창출하고 과학화하라면 말이 되는가? 

과학은 누군가의 믿음을 뒷받침하고 홍보하는 도구가 아니다. 어떤 믿음 혹은 가설에 대해 실험을 통해 사실인지 아닌지 검증하는 일이 과학적 연구다. 

실험 결과가 가설을 지지한다면 근거가 될 것이고, 가설을 지지하지 않는다면 가설 자체를 폐기해야 한다. 한의학적 개념이 진실인지, 한방 치료가 효과가 있는지 연구를 통해 검증을 해서 사실만을 남기고 나머지는 폐기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한의학 연구는 미리 정해 놓은 답에 연구들을 짜 맞춘다. 엉터리 임상시험으로 효과를 부풀리고, 질 낮은 실험에 터무니없는 해석을 덧붙여 경락이 존재를 입증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외국에서는 하지 않는 사상체질 연구에 매달리면서 이제마의 주장이 사실인지, 체질이 진짜 네 가지로 나뉘는지조차 검증하지 않는다. 이런 행위들은 과학이 아니다. 과학자들이 넓혀온 지식의 호수에 독을 풀어 넣는 악랄한 행위다. 

한국한의학연구원은 최근 5년간 내부청렴도 최하위 등급을 받았고 정부출연연구기관들 중 가짜학회 출장에 가장 많은 예산을 썼다고 한다. 아마도 우연은 아닐 것 같다. 

한의학적 인체가 과학적 인체와 다르지 않다면 한의학 연구도 현대의학이나 생명과학 연구와 같은 기준을 적용받아야 한다. 한의학 연구가 한의학 신봉자들끼리 예산을 나눠먹고 영업을 홍보하는 수단이 되도록 방치하지 말고, 객관적인 시각과 능력을 갖춘 외부 전문가들을 참여시켜서 연구의 질을 끌어올리고 연구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 

한의학 연구가 한의학의 근거를 창출하고 활용을 확대하겠다는 목표를 고수한다면 초능력 군사 활용 프로젝트만큼이나 우스꽝스러운 역사로 남을 것이다. 그러나 방침을 바꿔서 널리 믿고 있는 한의학적 개념과 치료법들의 진위여부를 가려 환자들이 잘못된 믿음에 피해를 보지 않고 최선의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목표를 설정한다면 훌륭한 연구로 평가받을 수 있다.

■ 칼럼과 기고는 본지의 편집방침과 다를 수 있습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