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3-28 17:57 (목)
피부 색소침착은 왜 일어날까?
피부 색소침착은 왜 일어날까?
  • 이영재 기자 garden@kma.org
  • 승인 2018.09.21 10:02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강희영·박태준 아주의대 교수팀, 피부 색소침착 개선 치료법 개발
노화 섬유아세포제거 임상시험 진행…국제학술지 <테라노스틱스> 게재

국내 연구진이 노화로 인한 피부 색소침착을 개선하는 새 치료법을 제시해 미백화장품 분야 및 항노화 치료분야에 청신호가 켜졌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강희영·박태준 아주의대 교수팀의 공동연구를 통해 "피부 색소침착의 주요 원인세포와 미백효과가 있는 단백질 SDF1(Stromal cell Derived Factor 1)을 발견해 기존 방법과 차별화된 색소침착 개선 치료법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SDF1은 케모카인(Chemokine)의 일종으로 발생·면역·염증반응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글로벌 화장품 신소재·신기술 연구개발사업 지원으로 수행했으며, 의학분야 저명 학술지인 <테라노스틱스(Theranostics)> 9월 9일자에 게재됐다.

신체기관의 일부인 피부세포는 시간이 지나면 나이가 들고 색소침착이 일어나며, 노화로 인한 색소침착은 피부색의 변화, 기미나 갈색반점 등으로 나타난다.

연구팀은 노화색소침착의 주원인이 노화 섬유아세포(Fibroblast)에 있다고 가정하고, 치료제 발굴을 위해 노화성 색소침착 환자군을 대상으로 4년간 조직검사, 세포 배양 및 고주파 시술을 통한 색소침착 치료 연구를 수행했다.

섬유아세포는 콜라겐 및 세포외 기질을 형성하는 결합 조직의 주요한 세포로 상처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결과 색소침착 환자의 진피에는 정상인 대비 노화 섬유아세포의 수가 현저히 증가한 반면, SDF1 유전자의 발현은 감소한 것으로 관찰됐다.

연구진은 추가로 색소침착 환자대상 노화 섬유아세포를 제거하고 SDF1 단백질을 추가하는 임상시험을 수행했으며, 그 결과 색소침착이 줄어드는 미백치료 현상을 발견했다.

강희영·박태준 아주의대 교수는 "이번 연구는 노화로 인한 피부 색소침착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런 현상을 개선하는 신물질을 제시한 점에서 의미가 크며, 향후 새로운 치료법을 적용해 미백 화장품 및 항노화분야 치료제 개발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