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19 21:53 (금)
전신마취 전후 인지기능 평가해야

전신마취 전후 인지기능 평가해야

  • 이정환 기자 leejh91@doctorsnews.co.kr
  • 승인 2018.06.12 17:54
  • 댓글 1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건보공단 코호트 활용 21만 명 조사...전신마취 때 치매 위험 28.5% 증가
마취제 종류 많을수록 마취시간 길수록 위험도 증가...알츠하이머병 저널 발표

연구책임자인 김도관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수술을 위해 시행하는 전신마취가 위험하니 피해야 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전신마취 전후에 인지기능에 대한 평가와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뜻한다"면서 "수술에 꼭 필요한 전신마취를 하지 않거나 두려워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사진=pixabay)
연구책임자인 김도관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수술을 위해 시행하는 전신마취가 위험하니 피해야 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전신마취 전후에 인지기능에 대한 평가와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뜻한다"면서 "수술에 꼭 필요한 전신마취를 하지 않거나 두려워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사진=pixabay)

전신마취가 환자들을 대상으로 보다 신중하고 세심하게 '인지기능'을 평가하고 관리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김도관 성균관의대 교수(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호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교수, 김태미 한림대 교수(생사학연구소), 명우재 서울의대 교수(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공동연구팀은 최근 <알츠하이머병 저널>을 통해 전신마취 환자와 치매  발생 위험도에 관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공동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코호트를 활용해 50세 이상 성인 남녀 21만 9423명을 전신 마취 경험이 있는 그룹(4만 4956명)과 대조군(17만 4469명)으로 나눠 2002년부터 2013년까지 12년에 걸쳐 치매 발생 여부를 분석했다.

이 기간 동안 두 그룹에서 새롭게 치매를 진단받은 환자는 모두 8890명으로 상당수가 알츠하이머 치매(76.5%)였다.

연구팀에 따르면 전신 마취 그룹의 치매 발생 위험이 대조군에 비해 28.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매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나이, 성별, 동반 질환, 수술 부위 등 다른 요인들을 모두 반영한 결과다.

또 마취에 사용하는 정맥 마취제가 여러 개 일 때 한 가지를 사용할 때보다 49%가량 위험이 늘었다. 뿐만 아니라 전신 마취 시간이 1시간 늘 때마다 치매 발생 위험도 6%씩 늘었다.

연구책임자인 김도관 교수는 "치매로 인한 사회적 부담이 늘고 있지만 아직까지 근본적인 치료제가 없는 만큼 여러 가지 위험 인자들을 탐색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수술을 위해 시행하는 전신마취가 위험하니 피해야 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전신마취 전후에 인지기능에 대한 평가와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뜻한다"면서 "수술에 꼭 필요한 전신마취를 하지 않거나 두려워해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통해 진행했다.

관련기사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