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3-29 15:21 (금)
청소년 ADHD '중 2병'으로 오해…치료율 저조 심각
청소년 ADHD '중 2병'으로 오해…치료율 저조 심각
  • 이정환 기자 leejh91@doctorsnews.co.kr
  • 승인 2018.04.05 17:27
  • 댓글 1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ADHD 진단 청소년 일반 청소년보다 우울장애 3배·불안장애 2배·품행장애 20배 높아
소아기 치료율 대비 청소년 치료 절반 수준, 성인까지 이어지면 사회부적응 문제 우려
김봉석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이사장
김봉석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이사장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로 진단받은 아동의 70%는 청소년기까지 증상이 지속하고 있지만, 지난 5년간(2013∼2017년) 치료율은 평균 7.6%로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일반 청소년보다 ADHD로 진단받은 청소년의 경우 우울장애는 2배, 불안장애는 2배, 품행장애는 무려 20배 이상 높아 치료율을 높이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이사장 김봉석)는 제 3회 ADHD의 날(매년 4월 5일)을 맞아 5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청소년 ADHD 치료 현황에 대해 발표했다.

이번 ADHD 캠페인의 주제는 '대한민국 청소년 ADHD의 치료 현황 및 치료 장벽 요인'으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5개년 통계자료의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ADHD 진단 받은 아동 70%는 청소년까지 증상 지속
ADHD는 발병 후 청소년기를 거쳐 성인까지 그 증상과 기능 장애가 지속하는 신경정신 질환이다. ADHD로 진단받은 아동의 70%는 청소년기까지 증상이 지속하고, 이 중 50∼65% 이상은 성인이 되어서도 증상이 지속한다.

ADHD 증상은 생애 주기에 따라 나타나는 증상이 다른데, 아동기가 지나 청소년기에 접어들수록 '과잉행동'은 점차 줄어드는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앉아서 꼼지락거리거나 정리를 잘 하지 못하는 등의 '주의력 결핍-충동성' 등의 증상은 지속한다. 또 원만하지 못한 학교생활과 친구 관계로 인해 자존감이 낮아지고 위험한 행동을 일삼는 등 비행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ADHD 유병률을 생애주기에 따라 소아(5∼14세) 5∼10%, 청소년(15∼19세) 4∼8%, 성인(20∼65세) 3∼5%로 추정할 때 국내 ADHD 잠재 환자 수는 소아에서 약 36만 명, 청소년은 약 20만 명, 성인은 약 150만 명 정도로 추산된다.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내 ADHD 잠재환자 대비 실제 치료율은 'ADHD 캠페인'을 시작한 이래 2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캠페인 시작 전인 2015년 대비 2017년 기준 국내 소아 ADHD 잠재 환자의 실제 치료율은 11.1%에서 23.3%로, 청소년은 6.2%에서 13.5%로, 성인은 0.3%에서 0.7%로 전 연령층에서 2배가량 증가했다.

청소년기 치료 중요하지만, 소아 대비 치료율 절반 수준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에 이르는 과도기로서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매우 불안정하고 감정의 기복이 심한 이른바 '질풍노도의 시기'다.

그러나 지난 5년(2013∼2017년) 간의 청소년 ADHD 치료 현황을 분석해보면 청소년 ADHD 평균 치료율은 7.6%로 동 기간 소아 ADHD 평균 치료율 14.0% 대비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해의 경우 소아 ADHD 잠재환자의 치료율은 22.3%지만, 청소년은 13.5%에 불과했다. ADHD로 진단받은 소아의 70%가 청소년까지 증상이 지속하는 점을 고려하면 청소년기의 ADHD 치료 중단이 심각한 상황임을 알 수 있다.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한 청소년 ADHD 환자는 마치 초등학생이 고등학교의 다양하고 복잡한 일상을 수행하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ADHD 양상으로는 ▲집중력 장애로 인한 성적 저하 ▲학교 및 사회생활 부적응 ▲불안정한 친구 관계에서 오는 좌절감 ▲잦은 우울감 및 자존감 저하 등을 꼽을 수 있다. 또 증상이 방치될 시에는 장기적으로 대인관계를 지속하기 어려워 사회부적응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다.

실제로 소년원 내 청소년 ADHD 유병률(서울소년원 학생 200명 대상 ADHD-RS 설문)은 약 17%(34명)로 조사되는데, 생애주기별 청소년 ADHD 유병률이 4∼8%인 점을 고려하면 매우 높은 비율이다.

이는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청소년기에 ADHD 증상을 방치하거나 치료를 중단할 경우 알코올 장애, 품행장애 등의 문제로 이어질 위험이 높다는 점을 시사한다.

김붕년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대외협력이사가 청소년 <span class='searchWord'>ADHD</span> 치요율 현황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김붕년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대외협력이사가 청소년 ADHD 치요율 현황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춘기 및 '중 2병' 등 일시적 행동으로 간주…방치 잦아
ADHD 진단을 받은 청소년은 보통의 청소년에 비교해 주요 정신질환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의 김붕년 교수팀이 서울시 청소년을 대상으로 아동용 진단적면담도구(DISC)를 진행한 결과, 일반 청소년 군(189명)에 비해 ADHD를 진단받은 청소년(43명)은 우울장애의 경우 3배 이상, 불안장애는 2배 이상, 품행장애의 경우 무려 20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도 청소년기 ADHD 환자가 치료를 중단하게 되는 주요한 원인은 해당 시기의 ADHD 증상이 사춘기 또는 '중 2병' 등으로 인한 일시적인 행동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즉, 불안정한 친구 관계, 우울 증상, 학교 부적응 등의 문제가 ADHD 증상에서 비롯된 것임을 인지하지 못해 치료로 이어지지 못하는 것.

또 정신질환 치료 자체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주변 편견, 약물치료에 대한 낙인효과, 청소년기 특성에 따른 환자 요인 등이 학생과 부모 모두에게 ADHD 치료 저항 요인으로 작용한다.

부모의 경우 자녀가 폭력 등 심각한 문제행동을 보이지 않거나 학교 성적이 어느 정도 유지된다고 판단되면 치료를 임의로 중단하는 경우가 많다.

청소년의 경우 독립적인 성향이 강해지면서 자신의 건강을 스스로 챙기려는 모습을 보이게 되는데, 이 때문에 부모와 모든 학생이 치료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김봉석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이사장은 "ADHD는 소아에서 성인까지 생애주기에 걸쳐 지속하는 신경정신질환으로 무엇보다 꾸준한 치료가 중요한 질환"이라며 "청소년기는 생애주기 중 소아와 성인의 과도기이자 인격과 관계가 형성되는 민감하고 중요한 시기이므로 청소년 ADHD 환자들은 주의 깊은 치료를 통해 올바른 성인기를 맞이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붕년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대외협력이사는 "ADHD 청소년이 치료를 방치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문제에 대해 인지하지 못할 경우 사회-경제적 문제와 손실이 야기될 수 있다"며 "적극적인 청소년기 ADHD 치료를 위한 인식 개선과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