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18 06:00 (목)
입덧 방치하면 태아건강 '적신호'

입덧 방치하면 태아건강 '적신호'

  • 송성철 기자 good@doctorsnews.co.kr
  • 승인 2018.02.14 18:54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정열 제일병원 교수팀 임신부 472명 입덧 분석 
치료 필요한 임신부 70%...영양불균형 성인기 악영향

중증 입덧은 영양상태 불균형과 엽산제 복용 등을 방해할 수 있어 심한 경우 입원치료를 해서라도 적절히 관리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pixabay]
중증 입덧은 영양상태 불균형과 엽산제 복용 등을 방해할 수 있어 심한 경우 입원치료를 해서라도 적절히 관리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사진=pixabay]

심한 입덧은 임신부의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태아의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입덧을 방치하지 않고, 심한 경우 입원치료를 해서라도 관리해야 한다는 의미다.

한정열 제일병원 교수팀(주산기과)은 2015년 1∼6월까지 전국 4개 병원에 등록한 임신부 472명을 대상으로 입덧 중등도·입덧 전후 삶의 질 등을 평가하는 다기관 연구를 시행했다. 

연구 결과, 472명 중 80.7%(381명)가 입덧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특히 입덧으로 나타나는 구역질 시간·구토 횟수·헛구역질 횟수를 점수화(1∼5점)한 결과, 적극적인 입원치료가 필요한 중증 입덧(13∼15점)이 7%, 치료가 필요한 중정도증 입덧(7∼12점)이 63%에 달했다.

입덧 증상이 있는 것만으로도 삶의 질이 떨어지고, 증상이 심할수록 정도가 급격이 악화된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입덧 후 삶의 질의 변화를 평가한 결과 경증 입덧 임신부들은 삶의 질이 임신 전의 70% 수준이라고 답했으며, 중증은 50%까지 떨어졌다.

입덧은 평균 임신 6주경에 시작해 9주경 최고로 심해지다가 임신 14주경 90%가 회복됐다. 하지만 14주 이후에도 10% 정도는 입덧이 지속됐다고 응답했다. 

이전에 입덧을 경험한 임신부가 다시 입덧을 할 확률은 그렇지 않은 임신부보다 11배 높았다.

한정열 제일병원 교수(주산기과)
한정열 제일병원 교수(주산기과)

한정열 교수는 "일반적으로 입덧은 건강한 임신을 의미하지만 중증 입덧은 영양상태 불균형으로 이어질 수 있고, 엽산제 복용 등을 방해해 기형아 발생과 저체중아 출산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태아기의 영양 불균형은 성인기의 당뇨병과 신경·정신 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밝힌 한 교수는 "입덧이 심할 경우 적극적인 관리와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입덧을 관리하기 위해 임신부는 식사를 여러번 조금씩 자주하거나 맵고 기름진 음식을 피하고, 구토를 유발하는 냄새나 환경을 피해야 한다.

의료진은 "입덧이 심해지거나 증상이 완화되지 않는 경우에는 피리독신과 독시라민이 포함된 입덧 약을 복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면서 "탈수가 심해지고 체중이 계속 줄어든다면 수액과 약물을 이용한 적극적 입원치료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입덧 연구 결과는 대한산부인과학회 학술지 영문판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최근호에 실렸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