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18 21:27 (목)
간호등급 속인 요양병원 73일 업무정지

간호등급 속인 요양병원 73일 업무정지

  • 송성철 기자 good@doctorsnews.co.kr
  • 승인 2017.05.22 06:18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외래 간호인력 입원전담 신고...등급 높여 1억 2442만 원 받아
"행정조사기본법 위반" 주장...서울행정법원 "위법 아니다" 판단

▲ 서울행정법원
행정업무를 병행한 간호인력을 입원환자 전담 간호인력으로 신고, 더 높은 간호등급으로 급여비를 받은 A요양병원에 대해 보건복지부가 내린 건강보험 요양기관 업무정지 73일(의료급여 업무정지 63일) 처분은 적법하다는 법원 판결이 나왔다.

서울행정법원 제14부는 A요양병원장이 보건복지부 장관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을 상대로 낸 업무정지 처분 취소 소송(2016구합64357)에서 원고의 청구를 모두 기각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12년 7월 16일 A요양병원에 대한 현지확인(2011년 6월 20∼2012년 6월 30일)을 실시, 보건복지부에 현지조사를 의뢰했다.

보건복지부는 2014년 2월 12일 현지조사(2011년 10월∼2012년 9월 및 2013년 10∼12월)를 실시, B간호조무사가 입원환자 간호업무를 전담하지 않았음에도 건보공단에 신고하고, 요양병원 입원료 차등적용에 따른 간호인력 확보 수준 등급을 높게 받아 요양급여비용 9944만 원을 부당청구해 지급받았다는 이유로 73일 요양기관 업무정지 처분을 했다.

2016년 3월 23일에는 같은 방법으로 의료급여비 2497만 원을 청구, 부당하게 지급받았다는 이유로 63일의 의료급여기관 업무정지 처분을 내렸다.

건보공단은 2016년 5월 12일 9944만 원의 요양급여비용을 환수 결정한다고 통보했다.

A요양병원은 계도·경고조치 등 지도적 행정처분을 전혀 하지 않았고, 행정처분을 목적으로 사전통지를 하지 않은 채 현지조사를 진행한 것은 행정조사기본법 위반이라고 주장했다.

B간호조무사 역시 병원 입원환자 진료를 보조하는 등 간호업무를 전담한 점, 외래 접수·촉탁 진료 관련 업무를 병행했다 하더라도 전체 업무의 1/28에 지나지 않는 점, 조사대상기간에 위반사항이 없는 1년(2012년 10월∼2013년 9월)을 포함할 경우 월평균 부당금액과 부당비율이 줄어드는 점 등을 들어 재량권 일탈·남용이라고 주장했다.

재판부는 "행정조사기본법에 따라 출석요구서·보고요구서·자료제출요구서·현장출입조사서를 조사개시 7일 전까지 조사대상자에게 서면으로 통지해야 하지만 미리 통지하면 증거인멸 등으로 행정조사를 달성할 수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행정조사의 개시와 동시에 출석요구서 등을 조사대상자에게 제시하거나 행정조사의 목적 등을 구두로 통지할 수 있다"면서 "현지조사를 진행하면서 원고에게 조사명령서를 제시한 다음 '신분을 확인하고 조사에 응함'이라는 자필기재와 서명을 받았다"고 지적했다.

또 "행정청은 행정조사를 진행한 결과 발견한 위법 사항의 내용·규모·기간 등을 고려해 행위자등에게 법령 등을 준수하도록 유도하는 사전조치를 취하거나 그러한 조치를 취함이 없이 곧바로 업무정지 등 법령이 정한 제재처분을 할 수 있다"면서 "오로지 업무정지 등 행정처분을 목적으로 현지조사를 진행했다고 볼 만한 사정도 전혀 드러나지 않는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요양기관이 현지조사 관련 사항을 사전에 알 경우 이에 대비해 관련 자료를 변조하거나 폐기하는 등 증거를 인멸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현지조사는 밀행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재판부는 원고가 현지조사 과정에서 조사자들로부터 확인서에 날일할 것을 수회 요구받았음에도 이를 거부한 점, 과거 확인서에 날인해 불이익을 당했던 경험만을 이야기 했을 뿐 강압적인 방식의 현지조사에 반발해 이를 거부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이는 점, 사무국장 및 행정부원장이 현지조사 과정에서 조사자들에게 거친 태도로 언성을 높여 말한 점 등에 비추어 현지조사가 강압적인 방법으로 진행되지 않았다고 판단했다.

B간호조사무와 관련해 재판부는 2012년 6월 27일자 근로계약서에 담당업무를 간호사, 접수처, 원무행정 및 기타로 기재한 점, 현지조사 당시 B간호조무사가 "입사시부터 현재까지 외래에서 접수업무를 담당했고, 2012년 1월경부터 요양급여비용 청구 업무를 추가로 담당했으며, 병동에서 근무한 사실이 없다"는 취지의 사실확인서를 작성한 점에 무게를 실었다.

현지조사 대상기간에 대해서는 심평원이 조사를 의뢰한 기간인 2011년 7월∼2012년 6월까지의 기간과 현지조사 개시일인 2014년 2월 12일에서 가장 최근에 지급된 진료월을 기준으로 최근 3개월 진료분을 포함해 15개월을 조사했다며 요양기관 현지조사 지침에 부합한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건고공단과 C시로부터 부당하게 지급받은 요양급여비용과 의료급여비용의 합계가 1억 2442만 원으로 액수가 적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당하게 지급받은 기간도 짧지 않다면서 업무정지 처분이 적법하다는 데 무게를 실었다.

1심 판결에 불복한 A요양병원장은 항소장을 제출, 상급심 판결을 받아보기로 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