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19 21:53 (금)
갑작스런 '벼락두통', 진단율 높이는 방법 나왔다

갑작스런 '벼락두통', 진단율 높이는 방법 나왔다

  • 이정환 기자 leejh91@doctorsnews.co.kr
  • 승인 2017.05.18 17:12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진상·이미지 교수팀, 가역성대뇌혈관증후군 진단 새 검사법 제시

(왼쪽부터) 정진상 교수, 이미지 교수.
갑작스러운 극심한 두통, 즉 '벼락두통'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인 가역성 대뇌혈관증후군(RCVS)의 진단율을 높이는 새로운 방법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제시 됐다.

가역성 대뇌혈관증후군은 순간적인 뇌혈관 수축과 팽창으로 극심한 두통을 일으키고, 심한 경우 뇌출혈, 뇌경색, 뇌부종 등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기존 검사 방법으로는 이러한 뇌혈관의 변화를 확인하기 쉽지 않은데다 두통이 유일한 증상일 때도 많아 진단 자체가 어렵다.

정진상·이미지 성균관의대 교수(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연구팀은 지난 2015년 4월부터 2016년 7월 사이 벼락두통을 이유로 병원을 찾은 환자 중 지주막하출혈이 없었던 환자 72명을 조영 증강 자기공명영상기법을 통해 뇌혈관장벽의 손상 여부를 살폈다.

가역성대뇌혈관증후군을 진단하기 위해 뇌혈관장벽 손상을 확인해 보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팀은 우선 이들 환자의 벼락두통의 원인을 국제두통질환분류와 기존 검사방법에 따라 분류했다.

그 결과, 전체 환자의 40%(29명)만이 벼락두통의 원인으로 가역성대뇌혈관증후군이 확진 됐고, 50%(36명)는 기존 검사로는 의심소견이 나오거나 원인이 무엇인지 확인조차 되지 않는 경우였다.

하지만 연구팀이 뇌혈관장벽의 손상 여부 검사를 통해 다시 진단하자 가역성대뇌혈관증후군 환자 29명 중 20명(69%)에서 손상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 원인이 불확실했던 환자도 뇌혈관장벽 손상 검사를 통해 41%(15명)가 가역성대뇌혈관증후군 환자로 진단받았다.

혈관이 수축됐다가 다시 팽창한 경우 이를 포착해 진단하기는 어렵지만, 혈관이 수축과 팽창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남은 뇌혈관장벽의 손상을 토대로 가역성대뇌혈관질환을 진단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한 셈이다.

뿐만 아니라 연구팀은 뇌혈관손상이 발생한 부위가 1곳 더 늘 때마다 뇌출혈, 뇌부종, 뇌경색 등과 같은 합병증의 발생 위험이 1.48배씩 늘어난다는 사실도 함께 밝혀냈다.

정진상·이미지 교수팀은 "가역성대뇌혈관증후군은 현재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은데다 기존 방법으로 진단도 어려워 환자들의 고통을 키우고 있다"며 "이번 연구로 진단율을 높이고 합병증을 미리 예측할 수 있게 된 만큼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큰 보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신경학 분야 국제적 권위지인 <미국 신경학회지(ANNALS OF NEUR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