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3-28 17:57 (목)
[의당학술상] Stamp2, 비알콜성지방간 예방·치료 적절 치료표적 밝혀
[의당학술상] Stamp2, 비알콜성지방간 예방·치료 적절 치료표적 밝혀
  • 이정환 기자 leejh91@doctorsnews.co.kr
  • 승인 2016.05.03 12:00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23회 의당학술상 - 유영현 동아의대 교수(해부학교실)
 

유영현 동아의대 교수가 제68차 대한의사협회 정기대의원총회에서 제23회 의당학술상을 수상했다.

의당학술상은 임상병리학의 선각자인 고 의당 김기홍 박사의 유업을 기리는 뜻에서 제정된 상으로, 해마다 학술분야에서 우수학 업적을 낸 의학자에게 수여된다.

유영현 교수는 '간조직내 Stamp2에 의한 고지방식이 유도 간지방증과 인슐린 저항성 완화연구' 논문으로 이번에 상을 수상하게 됐다.

유 교수는 그동안 Stamp의 역할에 대한 대부분의 논문은 지방조직에서 이루어졌으므로 Stamp2가 주요한 대사 중추인 간 내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어, Stamp2가 비알콜성지방간(NAFLD) 병인에서 어떤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 가설하고 이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했다.

먼저 사람 NAFLD 환자의 병리표본과 고지방식으로 유도한 NAFLD 생쥐 모델을 이용해 연구를 수행했다. 간 내 Stamp2의 분자적 역할은 올레익산을 간세포에 처치한 in vitro 모델을 사용해 조사했다.

그 결과 NAFLD 환자 간 표본에서 Stamp2 발현이 저하된 것을 관찰했다. NAFLD 생쥐모델의 간에서도 Stamp2 단백의 발현은 저하됐다.

또 간 내 Stamp2유전자를 생체 내에서 삭제하니 고지방식으로 인한 지방간이 악화됐으며, 반면, Stamp2 아데노바이러스를 간 내로 전달하니 지방간이 개선됐다.

'In vivo' 와 'in vitro NAFLD' 모델 모두에서 지질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발현이 증가됐는데, 이들이 Stamp2 아데노바이러스에 의해 개선됐다.

Stamp2 아데노바이러스는 고지방식에 의한 인슐린내성도 개선했다. In vivo 와 in vitro 분석을 통해 Stamp2는 인슐린민감성과 포도당대사를 조절한다는 것도 밝혔다. 이밖에 Stamp2는 insulin receptor substrate-1의 안정성을 조정해 올레익산으로 유도되는 인슐린저항성을 개선한다는 것도 밝혔다.

유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간 내 Stamp2는 고지방식으로 인한 NAFLD가 유도를 억제하다는 점과 Stamp2 아데노바이러스를 통한 과발현은 고지방식으로 인한 지방간과 인슐린내성을 완화한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Stamp2가 NAFLD를 예방·치료하는데 적절한 치료표적이 될 수 있음을 처음으로 밝혔다"고 말했다.

제23회 의당학술상 수상자 선정위원회는 "지방간질환, 인슐린저항성, 당뇨병, 고지혈증 등 다양한 임상적 활용 가능성이 높은 새로운 치료 기전을 연구했다"고 평가했다.

또 "Stamp2가 간세포에서 지방대사와 인슐린 감수성에 기여하는 기전을, liver specific deletion, adeonoviral overexpression, hepatic downregulation 등 다양한 in vivo 연구를 통해 규명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환자 샘플을 사용해 실제 임상에 적용될 수 있는 중개연구적인 가능성을 입증한 것은 물론 다양한 in vitro signaling 분석으로 인슐린 저항성과 연관성을 규명해 현재 특별한 치료약이 없는 지방간질환의 신약개발의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강조했다.

유영현 교수는 부산의대를 졸업(1983년)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또 동아의대 해부학교실 전임강사(1986∼2016년), 동아대 생명과학연구소·의과학연구소·의과학연구원 소장 및 원장을 역임(1999년∼2004년)했다.

그동안 총 150여 편의 논문을 SCI(E)급 잡지에 개제했으며 연구수탁, 지적재산권산출, 학술교류, 학술지활동 등 연구의 여러 측면에서 활발한 학술활동을 수행했다.

이밖에 미래창조과학부지정 선도연구센터 미토콘드리아허브제어 연구센터(SRC) 센터장(2009∼2016년)을 역임했고, 대한민국의학한림원 제2분회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2010∼2016년) 또 동아펠로우교수, 부산과학기술상, 동아학술상, 한곡학술상을 수상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