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19 15:39 (금)
망막중심동맥폐쇄 환자, 허혈성 뇌졸중 위험 70배 ↑

망막중심동맥폐쇄 환자, 허혈성 뇌졸중 위험 70배 ↑

  • 이정환 기자 leejh91@doctorsnews.co.kr
  • 승인 2016.04.27 20:28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심뇌혈관질환에 대한 평가·치료·예방적 관리 필요성 입증
박상준·우세준 교수팀, 한국인 전체인구 대상 연구결과 세계 최초 발표

(왼쪽부터) 박상준 교수, 우세준 교수.
사람의 눈은 망막, 맥락막, 공막이라는 세 개의 층으로 이뤄져 있으며, 맥락막과 망막중심동맥의 혈액은 눈으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한다.

그런데 이러한 혈관이 혈전이나 콜레스테롤 색전으로 인해 막혀 폐쇄되면 눈은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해 시력이 떨어지고 시야가 좁아진다.

특히, 망막중심동맥의 폐쇄는 급격한 시력저하가 자각할 수 있는 통증도 없이 나타나는데, 폐쇄가 2시간 이상 지속되면 시력 회복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빨리 병원에 내원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고혈압, 당뇨, 심장병, 뇌혈관질환 등이 있는 경우에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처럼 심뇌혈관질환과 망막동맥폐쇄는 위험인자를 공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발생 기전 또한 유사하기 때문에 이 두 질환의 연관성을 밝힌 연구들은 이미 여러 차례 보고됐다.

그렇지만, 망막중심동맥폐쇄가 발생한 환자에서 심뇌혈관질환이 발생할 위험시기 및 해당 시기의 위험도를 평가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 박상준·우세준 서울의대 교수(분당서울대병원 안과)팀은 망막중심동맥폐쇄가 발생했을 경우 심뇌혈관질환의 발병 위험성 수준과 함께 심뇌혈관질환의 위험성이 높아지는 시점에 대한 연구 결과를 세계 최초로 발표했다.

연구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청구 데이터를 이용해 한국인 전체 인구를 대상으로 망막중심동맥폐쇄 환자에서 뇌졸중 및 급성심근경색의 위험이 언제, 어느 정도 높아지는지 분석했다.

한국인 전체인구를 대상으로 분석했기 때문에 인구집단의 설정으로 인한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망막중심동맥폐쇄가 상대적으로 드문 질환임에도 분석에 필요한 충분한 수(이전에 심뇌혈관질환 발병이 없었던 망막중심동맥폐쇄 환자 1585명)의 환자를 연구에 포함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망막중심동맥폐쇄가 발생한 경우 발생일 기준 6개월 이전과 비교해 허혈성 뇌졸중의 위험도가 발생 후 한 달 간 약 21.5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망막중심동맥폐쇄 발생 후 일주동안은 허혈성 뇌졸중의 위험도가 약 70배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망막중심동맥폐쇄 발생 후 첫 1개월 이내, 특히 첫 1주에 허혈성 뇌졸중의 위험이 매우 높아졌다는 것이 확인되면서, 망막중심동맥폐쇄가 발생하게 될 경우 빠른 시간 내에 뇌 자기공명영상과 같은 뇌혈관질환에 대한 평가 및 이에 따른 치료와 예방적 관리가 필요함이 입증됐다.

이에 반해 망막중심동맥폐쇄의 발생과 관련해 출혈성 뇌졸중 및 급성심근경색의 발생 위험에 대해서는 서로 시기적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망막중심동맥폐쇄 환자들의 경우 출혈성 뇌졸중 및 급성심근경색 등의 질환과 위험인자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망막중심동맥폐쇄가 발생하게 되면 이들 질환에 대한 평가 또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박상준 교수는 "망막중심동맥폐쇄 환자에서 발병 초기 허혈성 뇌졸중의 위험성이 증가됨을 확인하게 되면서, 망막동맥폐쇄가 발병하면 가급적 빨리 MRI를 포함한 뇌혈관질환에 대한 검사가 필요하고 이와 같은 내용은 향후 임상지침으로 개발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또 "이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본 연구결과가 반복적으로 확인되어야할 것이고, 결국 망막동맥폐쇄와 심뇌혈관질환 사이의 위험성 및 위험기간에 대한 충분한 근거가 쌓인다면 망막동맥폐쇄 환자의 사망률과 심뇌혈관질환으로의 이환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교수는 "망막혈관이 막히는 질환은 뇌혈관 및 심장질환과 위험인자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 평소 혈압 측정 및 정기적인 혈액 검사 등으로 당뇨 및 고지혈증을 확인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다"며 "고혈압, 당뇨 등의 위험인자를 가진 경우 정기적인 검진과 상담을 통해 예방적 중재를 시행해야한다"고 말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