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3-29 15:21 (금)
임신성 고혈압이 만성화되지 않으려면?
임신성 고혈압이 만성화되지 않으려면?
  • 이정환 기자 leejh91@doctorsnews.co.kr
  • 승인 2015.12.10 17:41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삼성서울병원 박성지 교수팀, 체질량 지수 등 위험인자 규명

박성지 교수
임신성 고혈압이 만성 고혈압으로 이어지지 않으려면 체중조절 등 적극적인 생활습관 개선이 뒤따라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박성지 성균관의대 교수(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황지원 임상강사(삼성서울병원) 연구팀은 지난 2005년부터 2012년 사이 임신성 고혈압을 진단받고 출산까지 마친 산모 600명을 분석한 결과를 국제 학술지 <메디슨(Medicine, IF 5.723)> 최근호에 발표했다.

임신성 고혈압은 단백뇨의 동반 없이 임신 주수 20주 후 혈압 측정 시 수축기 140mmHg, 확장기 90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임신성 고혈압은 산모의 임신중독과 태아의 발육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어 각별히 유의해야 하지만 대부분 출산 후 12주가 지나면 상승한 혈압이 정상범위로 내려가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간과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임신성 고혈압 진단을 받은 산모 10명 중 1명은 출산 후에도 혈압이 정상으로 돌아오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임신 중 발생한 고혈압이 만성 고혈압으로 전환돼 평생 건강을 위협하게 된다는 의미다.

이처럼 혈압이 정상으로 돌아오지 않는 이유는 그동안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박성지 교수 연구팀의 이번 연구에서는 높은 체질량 지수, 임신성 고혈압이 이른 시기에 발생하면서 장기부전이 동반돼 있는지 여부, 흡연력 등이 위험인자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600명의 산모를 출산 후 만성적인 고혈압으로 이어진 산모(41명)와 정상혈압을 되찾은 대조군(559명)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만성 고혈압군과 대조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우선 체질량 지수(BMI)에서 나타났다.

만성 고혈압군의 BMI는 23.98(kg/㎡)로 대조군 21.87(kg/㎡)에 비해 다소 뚱뚱한 것으로 분석됐다. 임신 당시 체중이 증가한 상태가 지속될 경우 만성 고혈압으로 진행될 위험이 그 만큼 더 높다는 것이다.

임신성 고혈압이 임신 20주 이전에 발병하면서 장기부전을 동반하는 경우도 만성 고혈압과의 연결고리 중 하나로 지목됐다. 만성 고혈압군의 경우 이러한 경우가 전체 41.5%(17명)을 차지했던 데 반해 대조군에서는 14명(2.5%)에 불과했다.

이 밖에 두 군의 흡연력 또한 각각 4.9%(2명), 0.5%(3명)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박성지 교수는 "이러한 위험인자를 복합적으로 갖고 있는 경우 만성 고혈압으로 전환될 위험이 더 높다"며 "산모는 물론 의료진 모두 위험요소들은 미리 파악하고 관리해야 임신성 고혈압이 만성 고혈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예방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