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25 07:30 (목)
불면증 약이 오히려 '독' 될 수 있다

불면증 약이 오히려 '독' 될 수 있다

  • 이정환 기자 leejh91@doctorsnews.co.kr
  • 승인 2015.10.12 17:59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약물요법 부작용 위험...인지행동치료가 더 효과적
이은 교수, 약물요법 치료 대안으로 인지행동치료 강조

▲ 이은 교수

불면증을 치료하기 위해 복용하는 약물이 즉각적으로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부작용 위험이 많기 때문에 오히려 '불면증 인지행동치료'가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이은 연세의대 교수(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는 <대한의사협회지> 9월호 '불면증 약물요법의 허와 실'이라는 논문을 통해 약물요법의 장·단점, 그리고 약물요법의 대안으로 불면증 인지행동치료에 대해 소개했다.

논문에서는 최근 사회적으로 크게 주목받고 있는 불면증 및 수면제 사용에서의 여러 문제점들을 체계적으로 기술했는데, 불면증 치료에 있어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인지행동치료, 그리고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수면제 사용과 치매와의 연관성에 대해서도 기존 연구결과와 해석에서 주의해야 할 사항을 언급했다.

먼저 약물요법의 장점과 관련, 이 교수는 "과거 바비튜레이트 계열 약물이나 삼환계 항우울제를 불면증에 사용했던 것에 비해 최근 사용되는 약물은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는 점이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같은 장점에도 부작용 등의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만성불면증의 경우 잠을 못 자는 것에 대한 걱정으로 과각성(hyperrarousal)이 증가되고, 수면장애로 인한 안전행동이 늘어 이것이 불면증의 지속인자로 작용하기 때문에 약물요법만으로는 만성불면증을 치료할 수 없다"고 말했다.

또 "약물에 대한 내성 및 의존성 발생을 과도하게 걱정한 나머지 약물복용 행위 자체가 스트레스로 작용, 환자의 불면증을 지속시키는 측면도 문제"라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수면을 돕는 약물들은 다소 차이는 있겠으나 기억력 저하나 정신운동 속도의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며 "베조디아제핀 수용체 효현제의 경우 아침까지 숙취가 남거나 전향기억상실, 균형상실 등으로 인해 낙상 및 사고의 위험이 높아지는데, 최근 역학연구에 따르면 자동차 사고의 위험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지적했다.

또 "미국 식품의약국은 졸피뎀(zolpidem) 복용 다음날 운전기능 저하에 대한 경고한 바 있으며, 다른 수면제들의 데이터에 대해서도 분석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수면제를 복용한 18세 이상 성인 8000여명을 1년간 추적관찰한 결과 수면제 복용은 입원할 수준의 손상위험을 1.7배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도 했다.

최근 수면제 복용과 사망률과의 관계, 그리고 수면제 사용과 치매와의 연관성에 대해 보고한 연구들도 소개했다.

이 교수는 "수면제 복용과 사망률과 관련된 여러 연구 보고서들은 인과관계가 명확하지 않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며, 벤조디아제핀계 수면제의 사용이 알츠하이머 치매 발생을 증가시켰다는 연구보고서는 의사들이 경각심을 갖기에 충분한 결과임에도 사람 자체에 대한 연구가 아니라 진료 데이터를 통한 연구여서 부족하다"고 밝혔다.

또 "쿼티아핀(quetiapine)을 수면제로 사용하는 것은 승인 사항이 아니며, 의사의 처방 없이 살 수 있는 약물인 항히스타민제제들은 불면증에 대한 치료효과 및 안전성에 관한 연구가 메우 제한적이라 권장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약물요법이 부작용 때문에 문제가 되고 있어 이에 대안으로 불면증 인지행동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6개월 이상 지속된 일차성 불면증을 갖고 있는 노인들에게 무작위, 이중맹검 설계를 통해 일부는 수면제를, 일부는 위약을, 나머지는 인지행동치료를 제공하고 비교한 결과 치료 6주후 위약군을 제외한 나머지 2개 치료군 모두 효과적이었다"고 설명했다.

또 "치료 6개월 후에는 인지행동치료를 받은 대상자의 수면이 약물치료를 받은 대장사보다 더 좋았으며, 젊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인지행동치료 단독요법이 약물과의 병합요법이나 약물치료에 비해 우월한 치료효과를 보였다"고 덧붙였다.

이 교수는 "약물요법은 즉각적인 효과와 환자의 수고가 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으나, 만성불면증 환자의 경우, 장기간의 수면제 복용으로 수면장애가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오히려 내성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또 "수면제 부작용으로 인해 교통사고 및 낙상의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 역시 단점이며, 수면제 사용과 치매, 그리고 사망률 증가와 관련된 최근의 연구보고들은 아직까지 제한점이 있어 추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지만, 약물요법 외의 다른 대안치료를 고려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따라서 "불면증 인지행동치료는 즉각적인 효과가 부족하고 환자 스스로 노력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어 초기치료 탈락률이 높기는 하지만 장기 추적연구 결과 약물요법보다 효과적임이 증명됐으므로 좋은 대안치료가 될 수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