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을 위한 바른 소리, 의료를 위한 곧은 소리
updated. 2024-04-24 19:44 (수)
"국민 건강증진·질병예방의 '첨병' 될 것"

"국민 건강증진·질병예방의 '첨병' 될 것"

  • 이승우 기자 potato73@doctorsnews.co.kr
  • 승인 2015.01.26 12:20
  • 댓글 0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밴드
  • 카카오톡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장석일 초대 건강증진개발원장 포부 밝혀..."금연사업 '허브' 역할 집중"
"국민건강·의료의 중심은 의사...포용력 바탕으로 직능갈등 해소해야"

▲ 최근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초대 원장에 임명된 장석일 전 대한의사협회 보험이사가 20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그간의 의료계와 정계 활동 그리고 건강증진개발원장으로서의 포부와 향후 계획에 대해 밝혔다.
대한의사협회 보험이사, 대한산부인과의사회 부회장 등을 역임하는 등 보건의료정책 전문가로 활동하면서 정치활동도 활발히 펼치던 장석일 전 새누리당 여의도연구원 정책자문위원회 사회문화분과위원장이 1년여의 휴식을 끝내고 한국건강증진개발원장으로 화려하게 복귀했다.

지난 2009년까지 의료계 내에서 보험정책 전문가로 동분서주하던 장석일 원장은 2010년 국회 선진사회연구포럼 전문회원으로의 활동을 시작으로 새누리당 중앙위원회 보건위생분과위원장, 국민건강실천연대 상임대표 등을 역임하면서 의료계와 정계간 가교역할을 해왔다. 20일 본지가 장 원장을 만나, 초대 건강증진개발원장으로서의 포부와 향후 활동계획에 대해 들어봤다.

[이하는 장석일 원장과의 일문일답]

Q. 초대 건강증진개발원장으로 임명된 소감은.
-초대 원장으로서 막중한 책임감을 느낀다. 의료계가 여러 가지 현안에서 정부와 대립하고 있어서 어깨가 무겁다. 의료계는 물론 국가와 국민을 위한 내가 할 수 있는 역할이 무엇일까 돌아보고 있다. 내가 말하던 대로 '노력한 결과로 평가받는 사람'이 되겠다 다짐하고 있다. 국민들이 국민 건강증진과 예방에 더욱 많은 관심을 갖도록 노력하겠다.

Q. 건강증진개발원에 대해 의료계에서도 생소하게 느끼는 사람들이 많다.
-건강증진개발원은 현재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등 여러 공공기관에서 수행하고 있는 국민건강증진 및 예방 관련 사업들을 통합·총괄하는 역할을 한다. 다양한 보건의료 직능간 이해관계를 배제하고 국가와 국민 건강증진을 위해 만들어진 조직이다. 그리고 국민의 행복추구권과 건강권을 보호하기 위한 활동을 하는 조직이다.

국민건강과 관련 두 개의 큰 수레바퀴가 있다. 하나는 국민건강보험법이고 또 다른 하나는 국민건강증진법이다. 그동안 국민건강보험법은 국민생활과 밀접한 많은 부분에 영향을 미쳐왔지만 국민건강증진법은 그렇지 못했다. 수레가 잘 굴러가기 위해서는 양쪽의 바퀴가 균형을 이뤄야 하는데, 지금까지는 그렇지 못했다. 이제는 국민 건강증진을 강화해야 할 시기다. 박근혜 대통령도 '국민이 아프기 전에 선도적으로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건강하게 만들어줘야 한다 말했다. 너무 당연한 얘기다.

▲ 장석일 한국건강증진개발원장.
Q. 구체적인 추진사업과 활동영역은 어떻게 되나.
-우선 2015년에는 급증한 금연예산의 실행을 지원할 국가금연지원센터를 설치해 운영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의 금연사업을 총괄지원하는 실무기구로 금연사업에 대한 정책개발, 재원배분 방향 기획, WHO 등 국제기구 및 해외사례 분석, 지자체 및 타 부처의 금연사업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등 금연사업의 허브 및 '싱크탱크'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또한 '범국민 건강생활실천 운동본부'의 사무국을 산하에 설치할 예정이며, 학계, 언론계, 민간단체, 관계부처가 참여해 질병을 사전예방하기 위한 정책 및 교육홍보 안 등을 제시하고, 정부 차원의 일방적인 홍보·캠페인이 아닌 범국민 운동으로 전개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에 설치하는 운동본부의 실무를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예정이다.

Q. 금연예방사업의 구체적 계획은?
금연은 교육이 시발점이다. 학내 학생들과 학교 밖 청소년들의 금연교육을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3~6세 미취학아동들에게 조기 금연교육을 하면 효과가 가장 크다는 연구개발에 착안해 미취학아동 금연교육에 착수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와 연계해 일반 매체들은 물론 유튜브 등을 통해 대대적으로 금연홍보활동을 펼칠 것이며 자체적으로 공익광고, 다큐멘터리, 웹툰 등을 제작해 홍보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아울러 담배회사들의 흡연을 유도하는 홍보활동을 모니터링해 지나치게 흡연을 유도하는 부분들에 대해 자제와 삭제를 요청할 생각이다. 담배판매업장의 담배 홍보들 설치 및 배포 자제활동도 펼칠 계획이다.

Q. 우리나라의 자살율이 OECD 국가들 중 최고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살예방 어떻게 할 것인가.

-WHO가 정의한 건강의 개념은 단순히 질병이나 장애가 없는 육체적 건강만은 물론 정신적 안녕도 포함된다. 사실 그동안 정부가 건강위해요소 관리부분에는 관심을 많이 가져왔지만, 상대적으로 자살방지 부분에는 그렇지 못했다. 산하에 자살방지센터를 만들어서 자살예방에 적극적인 활동을 펼칠 생각이다.

현재 삼성생명과 MOU를 체결해 자살예방을 위한 기부금 사업을 실시하고 있으며, 청소년 자살예방 뮤지컬 '하이파이브' 제작, 웹툰 '썬데이 상담소' 연재, 청소년 건강증진 캠페인 '고(Go)함 콘서트' 개최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해 청소년 생명존중 인식개선 사업을 진행해오고 있다.

자살예방을 위해 국가 차원에서 정책적 접근을 통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데, 이를 위해 지자체, 여러 전문가 집단의 네트워크 구축해 네트워크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Q. 전국 보건소와 공중보건의사들을 관리한다고 했는데, 현행 보건소 역할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하고 있나.

-보건소에서 진료 개념을 빼야 한다고 생각한다. 보건소의 진료행위 때문에 지역 의료기관과의 갈등이 많았다. 보건소는 질병예방 등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사업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앞으로 전국보건소장협의회와 의논해 볼 생각이다.

지금까지 지자체장들이나 지역 정치인들이 보건소를 선심행정 수단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국민건강과 미래를 사욕에 이용하면 안된다.

Q. 정계활동도 활발히 펼쳤던 것으로 알려졌는데.
-정치에 몸을 담은 가장 큰 이유는 우리나라 의료가 옳지 못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고 곧 한계에 부딪힐 것이라는 문제의식 때문이었다. 그런데 막상 현실정치에 뛰어들어보니, 진입방벽이 컸다. 특히 의료인 출신이라서 의료인들 편만 든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다. 의사라는 직업이 오히려 '핸디캡'이 되더라. 의사들의 사회적 기여가 충분하지 않아서 정계에서 의료인에 대한 이해가 많이 부족한 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을 하게 됐고, 모든 사안을 국민의 건강과 편익을 위한 시각에서 합리적으로 파악하고 행동해야 하겠다고 깨닫게 됐다.

 
Q. 국민 건강증진 및 예방사업이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보건의료인들의 협조가 꼭 필요할 것으로 보이는데, 직능간 갈등이 적지 않다. 해법이 무엇이라 생각하나.

-우리사회의 가장 큰 걸림돌은 세대간, 빈부간, 정치세력간, 직능간 갈등 등을 포함한 사회적 갈등이라고 본다. 민주사회이기 때문에 당연한 현상이기도 하지만 우리사회는 유독 그 갈등의 골이 깊고 크다. 해결하기 쉽지 않은 문제지만 건강증진개발원장으로서 사회적 갈등 해결을 위한 역할을 다 할 생각이다.

Q. 마지막으로 동료, 선후배 의사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국가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전문가를 인정하고 그들의 의견을 존중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정부가 하고 싶은 대로만 할 것 같으면 전문가가 필요 없다. 의정간 갈등의 이유는 의료계의 뿌리깊은 피해의식과 의정간의 소통부재라고 본다.

의료계의 어려운 현실을 잘 알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어깨가 무겁고 나의 역할을 고민하게 된다. 그러나 의사들도 사회적 책임을 엄중하게 인식해야 한다. 국민건강의 중심에는 의사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의사로서의 자부심이 있다면 넓은 포용력을 갖고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할 것이다. 지속되는 의정갈등 속에서 많은 의협회장들이 강성투쟁의 길을 걸었지만 얻은 것이 뚜렷하게 없지 않은가. 강성투쟁은 의사들의 울분을 해소시켜 줄 수 있을지는 몰라도, 실질적인 이득을 가져오기 힘들다. 혹자는 정계에 입문하더니 이런 발언을 한다고 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의료계를 위해 누구 못지않게 고민하고 활동해왔기 때문에 떳떳하게 이런 말을 할 수 있다.

국민건강과 의료의 중심에는 의사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의사들의 현실적인 이익보다 국민건강을 앞세우자. 과감하게 국민을 위한 정책으로 나아가자.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 기사속 광고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로 본지 편집방침과는 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