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346건) 리스트형 웹진형 타일형 기자수첩 기자수첩대화의 물꼬는 텃는데 실마리를 찾지 못했던 의·정간의 대화가 지난 26일 첫 물꼬를 텃다.이는 의료계가 협상의 전제조건으로 제시한 구속자 석방 및 수배자 해제, 평화적 집회의 폭력적 진압에 대한 경찰청의 사과, 그리고 잘못된 정책입안자에 대한 문책 등 3가지 문제에 대해 융통성을 보이고, 정부도 “사과는 안된다”는 입장에서 한 걸음 물러나 보건복지부장관이 국민과 의료계에 잘못을 기자수첩 | 장준화 기자 | 2000-10-02 00:00 기자수첩 기본이 무시된 의사 진짜 분노 이유는 의사의 고유 권한인 진료권 침해의료사태의 본질은 현행법이 의사의 고유 권한인 진료권을 침해한데 있다.처방범위를 600품목으로 제한하는 것 부터 처방내용을 약사가 대체하도록 하는 약사법에 모든 의사가 분노하는 것이다.원인이 이런데도 정부의 해법은 고작 근시안적인 몇푼의 수가(酬價) 인상으로 변죽만 울리고 있다. 특히 금년 1월에 제정된 기자수첩 | 오윤수 기자 | 2000-08-21 00:00 기자수첩 꼬일대로 꼬인 政局 해법찾기 잘못된 분업안을 전면 폐지하고 새법안 마련이 필요곳곳에서 의약분업 시행에 따른 환자의 신음과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소아환자에게 처방전을 내주었지만, 아기를 등에 업은 부모는 약을 찾아 몇시간씩 길거리를 헤매는 것이 다반사가 됐으며 그나마 조제한 약의 성분과 함량이 제대로 된 것인지 알 수 없어 불안하기만 하다.`준비된 약국'의 조제불능 대가도 의료기관이 기자수첩 | 오윤수 기자 | 2000-08-14 00:00 기자수첩 '사상누각' 의료제도 의약분업, 인프라 구축이 우선의료제도는 국민건강 수준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이다.우리나라 의료제도는 인력·시설·재정 등 전반적인 면에서 볼때 국민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운영이 어려운 것으로 지적됐다.한국사회정책학회·한국노동연구원이 21일 공동으로 주관한 학술토론회에서 울산의대 조홍준교수는 `우리나라 의료체계의 문제점과 국민 건강수준'이라는 주제발 기자수첩 | 오윤수 기자 | 2000-07-27 00:00 기자수첩 임의조제 있을 수 없다 의사에게 진료권 맡기는 것은 당연의약분업이 성공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주요 선진국에서는 `임의조제'라는 용어를 찾아볼 수 없다.임의조제는 의사의 진찰 없이 약사가 비과학적인 방법인 문진 등을 통해 조제해 주는 것으로 의약분업이 시행될 경우 반드시 제도적으로 금지돼야 한다.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의약분업을 시행하는 가장 큰 목적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기자수첩 | 오윤수 기자 | 2000-07-03 00:00 기자수첩 서울대병원 의약분업 토론회 "의료대란(醫療大亂)의 파국을 막기 위한 대타협의 길은 있는가?"6월 20일 의료계 총파업을 앞두고 의약분업 대타협을 모색하기 위한 서울대병원 전공의들의 노력은 역부족이었다.5월 26일 서울대 전공의協 주최로 열린 '의약분업 시행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를 주제로 열린 100분 토론회는 '先보완 後시행'이라는 교훈을 남긴채 막을 내렸다.이평복 서울대 전공의 기자수첩 | 송성철 기자 | 2000-05-30 00:00 처음처음이전이전이전1112131415161718끝끝